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문학개론]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문학개론]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1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23 최종저작일 2014.10
19P 미리보기
[국문학개론]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미리보기

    목차

    1. 머리말

    2. 교재 개발과 관련된 문제점
    2.1 공동 개발 시의 문제점과 해결 과정
    2.2 개발된 교재와 쓰이는 교재

    3. 개발 방향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

    호주의 한국어 교육은 약 10년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여기에는 호주 정부의 아시아 언어와 아시아학에 대한 정책에 관한 일련의 보고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ANU를 제외한 7개 대학이 이 보고서 후에 한국학과가 설립되었는데 1994년부터 한국어가 NSW 주와 Victoria 주의 대학 입학 시험인 Higher School Certificate와 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에 각각 선택 과목으로 시행되었으며, 1996년에는 The 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에서 발표한 초·중고등학교에서의 아시아 우선 순위 언어 네 가지(일본어, 중국어, 인도네시아어, 한국어)의 하나로 채택되었다.

    호주의 한국학과들은 대부분 10년 내외의 짧은 역사와 7개 대학이라는 적은 대학 수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의 한국학과 교수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호주 정부의 지원으로 한국어 교육 향상에 장족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예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교재 개발을 들 수 있다.

    호주의 교재 개발은 각 대학 자체의 개발과 공동개발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각 대학의 자체 개발은 크게 90년대 전반기 기초 과정의 교재 개발과 90년대 후반기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자료의 개발로 세분될 수 있다. 주로 1990년대 초반기에 시작된 교재 개발은 기존에 나온 교과서들이 호주 교육 환경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교육환경에 맞는 교재를 개발하려는 필요에 의한 개발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예로 한국학 연구소 Adrian Buzo와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신기현의 Learning Korean: new directions,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심규석의 Korean for Communication, Monash University 조인정· 김영아의 Talking to Koreans와 듣기 교재인 Korean through Active Listening 등을 들 수 있겠다.

    참고자료

    · 김덕기. 1996. 영어 교육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 김영아. 1995. 한국어 듣기 교육: 문제점과 개발 방향. 교육 한글 8.
    · 김영아. 1995. 호주의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회지12.
    · 김영아. 199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 이중언어학회지 13.
    · 김영아. 1997. 한국어 교육에서의 컴퓨터 학습 도입 방안. 일암 김응모 교수 화갑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한국 어학의 이해와 전망. 서울: 박이정.
    · 조인정 1998.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읽기 지도. 영어교육입문. 서울: 박영사, 429-460.
    · Alderson, J. and D. Wall 1993. Does Washback Exist? Applied Linguistics 14.2.: 115-129.
    · Brosh, H. 1997. The Sociocultural Message of Language Textbooks: Arabic in the Israeli Setting. Foreign Language Annals 30, 3: 311-326.
    · Cho, I. 2000. Constructivist Approach to Development of Web Courses, Korean Language in America 5: 43-56.
    · Cho, I. 2000. Integrating Technology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Today's Students for Tomorrow's Society, Korean Language in America 5: 57-70.
    · Cho, Y. 1998. Tes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Continuous Assessment in Class. In S. Lee and D. Park (eds.): PERSPECTIVES ON KOREA. Sydney: Wild Peony: 353-366.
    · Cho, Y. 1999. Integrating culture with language in context. Linking Korea and Australasia for the New Century. Proceedings of the first Kore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ia Conference, Sydney.
    · Johnson, R. J and M. L. Liaw. 1996. Negotiating meaning over the Internet: matching Taiwanese EFL students with U.S. preservice teachers. In F. L. Brochardt, C. L. Bradin, E. Johnson and Laura Rhodes, eds. CALICO '96 Annual Symposium Proceedings of the Computer Assisted Language Instruction Consortium. Durham, North Carolina: CALICO and Duke University.
    · Johnson, R.K. (ed.) 1989. The Second Language Curriculu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Knapper, C. K. 1995. Approach to study and life-long learning: some Canadian initiatives'. In G. Gibbs (ed.) Improving Students Learning Through Assessment and Evaluation. Oxford: Oxford Centre for Staff Development, Oxford Brooks University.
    · Morrow, K. 1986. The evaluation of tests of communicative performance. In Portal, M., editor, Innovation in language testing. Windsor: NFER/Nelson, 1-13.
    · Roblyer, M.D., J. Edwards and M. A. Havriluk, 1997. Integrating Educational Technology into Teaching.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