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구 , “이어도문제의 해양법적 해결방법”, 2008.2.29(1쇄 초판), 동북아역사재단
· 이윤철 김명진,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전기학술대회논문집」,한국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7.6, page_167-169
· 송성대(Sung Dae Song) , “한ㆍ중 간 이어도海領有權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3호, 대한지리학회, 2010.6, page_414-429
· 이석용, “Maritime Delimi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국제법학회논총」, 제52권 제2호 통권 제108호, 대한국제법학회, 2007.8, page_259-283
· 강효백, “한중해양 경계획정 문제 :이어도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제14권 제1호 통권50집, 한국동북아학회, 2009.3, page_85-107
· 진용기,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03
· 김선표, “韓·中·日 3國間 海洋境界劃定 관련 法的 問題에 관한 小考”, 「국제법학회논총」, 제46권 제2호 통권 제90호, 대한국제법학회, 2001. 10, page_53-72
· 권문상, “UN海洋法協約과 海洋境界劃定”, 「법조 403('90.4)」, 법조협회, 1990, page_29-54
· 윤영민, 이윤철, “한반도 주변 국가의 해양관할정책 및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 2006, page_85-107
· 송성대, “한·중 간 이어도海 領有權 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3호 통권 138호, 대한지리학회, 2010.6, page_414-429
· 이창열, “형평의 객관화와 해양경계획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학위 논문, 2011. 2
· 김찬규, “(국제법)UN해양법협약중 몇 가지 문제”, 「고시계,」, 제28권 제4호 (통권 제314호, 고시계사, 1983.3, page_ 124-137
· 김영구, “한일 한중 어업협정의 비교”, 「Foreign Relations」, 제62호 , 2002.7, page_85-90
· 박용현, “한중어업협정상 새로운 어업수역체제에 관한 연구 ”, 「법학연구」, 제22집, 한국법학회, 2006.5, page_373-393
· 이석용 , “국제사법재판소의 도서영유권 및 해양경계획정 관련 분쟁해결 ”, 「국제법학회논총」, 제51권 제1호 (통권 제104호), 대한국제법학회, 2006.4, page_12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