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1.
· 구재진, 「민족문학론-화두를 지키기 위하여」, 민족문학사연구 제12호, 민족문학사연구소, 1998.
· 김동리, 「순수문학의 진의」, 서울신문, 1946. 9. 15.
· 김상욱, 「문학이념과 문학교육」, 문학교육의 방법, 한길사, 1991.
· 김성진, 「문학교육에서 비평 활동에 관한 연구: 비판적 읽기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30호, 2002.
· 김영민, 「1950년대 민족문학론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2집,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 김영민, 「해방 직후 한국 문학비평사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11집,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 김윤식,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2.
· 김재용, 「분단 현실의 변화와 민족문학의 모색」, 실천문학 제46호, 1999. 여름.
· 김지하, 「풍자냐 자살이냐」, 민중문학론, 문학과지성사, 1984.
· 박기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제29회 한국문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 박현채, 「민중과 문학」, 민족, 민중 그리고 문학, 지양사, 1985.
· 백낙청,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 월간중앙, 1974. 7.
· 성민엽, 「민중문학의 논리」, 예술비평, 1984. 가을.
· 신승엽, 「배수아 소설의 몇 가지 낯설고 불안한 매력」, 민족문학을 넘어서, 소명, 2000.
· 우한용, 「소설교육의 기본구도」, 소설교육론, 평민사, 1993.
· 유문선, 「남한 리얼리즘론의 전개과정」, 다시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실천문학사, 1992.
· 이선영․하정일,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론과 근대관」, 민족문학사연구 제8호, 민족문학사학회, 1995.
· 임경순, 「비평교육에 대한 일 고찰」, 선청어문 제25집, 서울대국어교육과, 1997.
· 임경순, 문학의 해석과 문학교육, 역락, 2003.
· 임규찬, 「80년대 민족문학 논쟁」, 작품과 시간, 소명출판, 2001.
· 임 화, 「문학의 인민적 기초」, 중앙신문, 1945.12.8-14.
· 조정환, 「80년대 문학운동의 새로운 전망-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의 제기」, 서강 17집, 1987.6.
· 조정환,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자기비판, 연구사, 1989.
· 진정석, 「민족문학과 모더니즘」, 민족문학사연구 제11집, 민족문학사학회, 1997.
· 하정일, 분단 자본주의 시대의 민족문학사론, 소명출판사, 2002.
· 柄谷行人, 일본 정신의 기원, 송태욱 역, imagine, 2003.
· Pêcheux, M.,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H. Nagpal trans., St. Martin's Press,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