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교사평가와 교육의 질 향상,교사평가체제,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평가체제와 교원성과금의 개선방향과 과제

3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15 최종저작일 2014.10
31P 미리보기
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교사평가와 교육의 질 향상,교사평가체제,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평가체제와 교원성과금의 개선방향과 과제
  • 미리보기

    소개

    믿고 받아 가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레포트 쓰시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교사평가와 교육의 질 향상

    Ⅱ. 교사평가체제
    1. 교사평가체제의 운영실태 분석
    2. 교사평가의 저해요인
    3. 미국과 영국의 교사평가체제
    가. 교사평가의 목적과 기능
    나. 교사평가 내용과 기준
    다. 교사평가방법 및 도구
    라. 교사평가의 과정
    마. 교사평가의 평가자

    Ⅲ. 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
    1. 교사평가 결과의 활용
    2. 교원성과금의 현황과 문제점
    3. 미국과 영국의 사례
    4. 교원성과금의 효과성

    Ⅳ.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평가체제와 교원성과금의 개선방향과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교사평가와 교육의 질 향상

    평가는 인간이 존재하는 곳 어디서에서도 수시로 일어날 수 있는 활동으로써 평가의 사전적 의미는 사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을 뜻한다. 평가의 개념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평가는 조직구성원의 태도, 성격, 적성 등을 판단하며, 둘째는 조직구성원의 직무수행상의 업적이나 성과들을 측정하고, 셋째로는 조직구성원의 능력, 즉 현재의 능력과 잠재능력을 동시에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는 조직체에서 조직의 구성원인 사람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도화한 것이기 때문에 인적자원관리의 대부분 영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조직과 개인간의 관심을 완전히 연결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때문에 이들간의 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발견하고자 애써왔다. 이러한 차이를 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평가이다(Cyril & Poster, 1993:1-11). 이러한 관점에 비춰볼 때, 교사평가는 교사 개개인의 동기를 강화시켜 직무수행능력을 도모해야 하고 승진이나 전보, 보수 등을 위한 인사행정의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평가의 기능은 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기술 증진에 초점을 두는 형성평가와 교사를 승진시키거나, 장기간 근속 또는 해고 등을 위한 인사결정에 사용되는 총괄평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교사평가의 기능은 두 가지 차원인 직원개발 모델과 책무성 모델로 구분되기도 한다. 직원개발 모델로서 교사평가는 교사가 잘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교사가 성장할 수 있는 영역을 확인하고, 교사의 경력개발을 조장하고, 학교와 교사간을 통합하며 상호 이익 영역을 확인하고, 교사 발달을 위한 지원과 훈련을 확인하고, 학교운영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책무성 모델로서의 교사평가는 자질부족교사를 확인하고 교사의 직무수행의 약점을 확인하고, 보수와 승진의 목적을 위해 직무수행을 평가하고, 훈련 절차의 증거를 제공하는데 있다(Goddard & Emerson, 1997:10-19).

    참고자료

    · 박병량․주철안 공저(1998). 학교․학급경영. 서울:학지사.
    · 박영숙(1992). 교원근무성적 평가체제 개선연구 -발달지향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정화(1989). 교육인사행정. 서울:세영사.
    · 서정화․전제상(1998). "학교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논총 논문집 제15집,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77-78.
    · 원효헌(1997). 교사의 교수수행평가 영역 및 요소의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윤정일 외 편역(1996). 학교개혁론-쟁점과 과제. 서울:원미사.
    · 전제상 외(1996). 초․중등학교 운영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제78집.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전제상 외(1997). 학교기능 활성화를 위한 교원 직무체계 정립연구. 정책연구 제88집.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전제상 외(1999). 교원평가의 합리적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부 학술연구과제.
    · 전제상․최희선․송기창(1998). 교원정책의 당면과제와 개선방안. 정책연구 제90집,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최희선․권기욱․전제상(1999). 교원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제100집,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전제상(1997). “우수교원 확보를 위한 교원보수체계의 발전방향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Vol. 15. No. 2. pp.289-323.
    · 전제상(2000). 교사평가의 준거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전제상(2000). "교사평가의 준거개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Vol. 19. No. 2. pp.183-222.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편저(1997). 예비교원을 위한 교사론. 서울:교육과학사.
    · Beerens, Daniel, R. (2000). Evaluating Teachers for Professional Growth-Creating a Culture of Motivation and Learning. Thousand Oaks. California: Corwin Press. Inc.
    · Castetter, William B. (1986), The Personnel Func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 Cyril and Doreen Poster(1993). Teacher Appraisal-Training and Implementa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Glasman Naftaly S., and Ronald H, Heck.(1996). Role-Based Evaluation of Principals : Developing an Appraisal System.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Leadership and Administr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374.
    · Ivor Goddard and Chris Emerson(1997). Heinemann School Management - Appraisal and Your School, Oxford:A Division of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td.
    · Jeff Jones and John Mathias(1995). Training for Apprais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ondon: Cassell.
    · Manning, Renfro C. (1998). The Teacher Evaluation Handbook-step-by step Techniques and Forms for Improving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 New Jersey:Prentice Hall.
    · McLaughlin, Milbrey Wallin & Pfeifer, R. Scott (1988). Teacher Evaluation-Improvement, Accountability, and Effective Learning. N.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 Ondrack, D.A. and Oliver C. (1986), A Review and Analysis of Performance Appraisal Processes Volume I : A Review of the Literature. Toronto :The O.I.S.E. Press.
    · Rebore, Ronald W. (1998). Personnel Adminstration in Education - A Management Approach, USA : Allyn and Bacon.
    · Smith, Richars E, (1998).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A School-Based Perspective. New York.: Eye on Education.
    · Stanley, Sarah J., & PoPham. W. James (1988). Teacher Evaluation : Six Prescription For Success. USA :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DfEE 98, Green Paper:Teachers-meeting the challenge of change,http://www.dfee.gov.uk/ tdppm/index.htm
    · DfEE Circular 15/98 "New Framework Governing Bodies", http://www.dfes.gov.uk/ index.htm
    · DfE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Employment, UK), 2000, "Model Performance Management Policy", http://www.dfes.gov.uk/teachingreforms/
    · DfEE, 2000 "Performance Management: Guidance for Governors, Governing Bodies and Headteachers", http://www.dfee.gov.uk/circulars/dfeepub/jun00/060600/index.htm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