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아주대 글쓰기 기말페이퍼 자유로운 글쓰기 (영화, 당신에게 무엇입니까?)

아주대 글쓰기 손유경 A+받은 레포트입니다. 한번도 배포된적 없는 100% 창작 자료입니다. 총 7번의 과제중 최종 기말페이퍼 과제입니다. 영화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와 측면으로 분석한 글쓰기 입니다. 글쓰기 과제뿐아니라 영화 및 관련분야에 계신분들도 유용할것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04 최종저작일 2009.11
10P 미리보기
아주대 글쓰기 기말페이퍼 자유로운 글쓰기 (영화, 당신에게 무엇입니까?)
  • 미리보기

    소개

    아주대 글쓰기 손유경 A+받은 레포트입니다.
    한번도 배포된적 없는 100% 창작 자료입니다.
    총 7번의 과제중 최종 기말페이퍼 과제입니다.
    영화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와 측면으로 분석한 글쓰기 입니다.
    글쓰기 과제뿐아니라 영화 및 관련분야에 계신분들도 유용할것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우리와 소통하고 있는 영화 : 복합적인 요소로 대중과 소통하는 영화
    2. 경제적 측면으로 바라본 영화의 의미 : 하나의 산업으로써 영화
    3. 문화적 측면으로 바라본 영화의 의미 : 문화 형성자로써 영향력을 가진 영화
    4. 사회, 정치적 측면으로 분석해 본 영화의 의미 : 영화의 내 ,외적인 사회정치적 기능과 영향
    5. 심리학적 측면으로 접근해 본 영화의 의미 : 영화가 가지는 심리학적 테크닉
    6. 오락 그 이상의 영화 : 영화가 주는 복합적인 의미와 영화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화 <데스페라도>에서 기타를 멋지게 연주하다가 갑자기 총잡이로 바뀌는 마리아치를 보고 기타만 하나 들고 있으면 예쁜 여자들이 그것을 감상해줄 것만 같아 “오! 나도 기타를 한번 배워볼까?”라고 생각했던, 영화 <넘버 23>을 본 후 뭔가 같은 숫자의 연속을 보게 되면“무슨 일이지? 나도 어떤 운명에 의해 삶이 뒤엉퀴게 되는 걸까?”라며 신경이 날카로워져 주변에 잡다한 것들에 대해 의미를 붙여 보았었던, 영화 <스파이더맨>을 본 후 무당벌레에게라도 물리면 “혹시 내 등이 열리면서 날개가 나오지 않을까?”라며 혼자만의 엉뚱한 상상에 빠져보았던 경험들은 아마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우리는 단순히 스트레스를 풀기위해 영화를 보기도 하고, 영화를 보는 것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데이트를 하거나 친구와 시간을 보낼 때 영화를 보기도 하며 이러한 영화관람을 통해 심리적인 집단경험을 하기도 한다. 한편 제작자의 관점에서는 영화산업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적인 논리가 영화에 반영되어 대중에게 영향을 주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영화는 대중의 삶속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영화를 단순한 오락적 기능을 가진 매체로만 취급하는 것이 타당한 것일까? 그렇지 않다. 단순 예술로써의 심미적 측면, 영화산업으로써의 경제적학적인 측면, 문화형성의 문화적인 측면, 사회정치적 영향을 고려한 사회정치학적인 측면, 그리고 각 개인의 심리적인 분석을 통한 심리학적 측면 등 영화는 대중문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매체로써 우리가 알고 있는 것 보다 더욱 다양한 형태로 우리의 삶과 소통하고 있다. 이처럼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영화가 우리 생활에 기능하는 방식과 우리 개인에게 그리고 우리 사회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자료

    · 이건우,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 파급효과』, 영화진흥 위원회, 2005, p.54. (영화 경제적 분석: 불확실성)
    · 이건우, 『영화산업의 경쟁력과 경제적 파급효과』, 영화진흥 위원회, 2005, p.57. (영화 경제적 분석: 불확실성)
    · Graeme Turner,『대중영화의 이해』, 임재철 역, 한나래, 1994, p.65. (영화 문화적 분석: 문화 형성)
    · 신방흠, 『문화콘텐츠를 위한 시각예술과 대중문화』, 진한도서, 2001, pp.97~98. (영화 문화적 분석: 물질문화)
    · G.조엩 J.린톤,『영화 커뮤니케이션』, 김훈순 역, 나남출판, 1994, pp.137~138. (영화 사회적 분석: 커뮤니케이션)
    · 「영화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시대정신과 자기진실에 관하여」, <KINO>, 1995년 10월,<http://php.chol.com/~dorati/web/kino/kino199510.htm>. (영화 사회적 분석: 반영자 형성자)
    · James Monaco, How to Read a Film,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p.434~436. (영화 사회적 분석: 반영자 형성자)
    · 조흡,『영화가 정치다』, 인물과 사상사, 2008년, pp.41~58. (영화 정치적 분석: 남북관계로 본 영화)
    · 이효인, 「통일을 향한 위험한 시각:‘공동경비구역 JSA’,‘간첩 리철진’,‘쉬리’」,『통일시론』, 9호, 2001, pp.84~88. (영화 정치적 분석: 남북관계로 본 영화 예)
    · G.조엩 J.린톤,『영화 커뮤니케이션』, 김훈순 역, 나남출판, 1994, p.153. (영화 심리적 분석: 집단경험)
    · 그림 ) G.조엩 J.린톤,『Movie as mass communication(영화 커뮤니케이션)』, 김훈순 역, 나남출판, 1994, p.153. (영화 심리적 분석: 집단경험)
    · G.조엩 J.린톤,『영화 커뮤니케이션』, 김훈순 역, 나남출판, 1994, pp.157~159. (영화 심리적 분석: 심리이용 마케팅)
    · 「 La premiere seance publique payante 」, <Bienvenue sur Adobe Golive 4>, 2008년 6월 10일 , <http://www.institutlumiere.org/francais/films/1seance/accueil.html>. (결론: 최초의 영화 상영기구 시네마토그래프)
    · Graeme Turner, Film As Social Practice , Routledge, 1990, p.125. (결론: 생산자 수용자측면)
    · 그림 ) 네이버 블로그, 박강아르망씨의 영화 교육, 2007년 3월 27일, <http://cafe.naver.com/filmedu/165> (결론: 최초의 영화 상영기구 시네마토그래프)
    · http://www.filmmakers.co.kr/ 영화커뮤니티 ‘필름메이커스’
    · http://www.cine21.com/NewsReport/ 영화전문 사이트 ‘시네21’
    · http://djuna.cine21.com/movies/scrawl20000229.html 영화평론가‘DJUNA의 영화낙서장’
    · 『동일문화』1996.3 4월호. 영화속에서 현실찾기
    · Bela Balazs (Der Sichtbore Meusth oder die Kultur des Films 24) <시각적 인간과 영화문화>
    · Walter Benjamin (Das Kunstwerk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 http://user.chol.com/~dorati/critic/ 영화감독/영화평론가 ‘정성일 글모음’
    · http://www.joycine.com/ 영화전문 사이트 ‘조이씨네’
    · 로베르토 로드리게즈, 영화 <데스파라도>, 1995
    · 조엘 슈마허, 영화 <넘버23>, 2007
    · 샘 레이미, 영화 <스파이더맨>, 2002
    · 롤랜드 에머리히, 영화 <2012>, 2009
    · 유하, 영화 <비열한 거리>, 2006
    · 라슬로 베네덱, 영화 <the wild one>, 1953
    · 강제규, 영화 <쉬리>, 1998
    · 박광현, 영화 <웰컴투 동막골>, 2005
    · 강제규,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2004
    · 박찬욱,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2000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