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가히 살만한 곳[可居地]

"가히 살만한 곳[可居地]"에 대한 내용입니다.
4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0.04 최종저작일 2005.04
49P 미리보기
가히 살만한 곳[可居地]
  • 미리보기

    목차

    ㄱ. 서론(序論)

    ㄴ. 비결(秘訣) 안에서 가거지(可居地)
    십승지지(十勝之地)
    1. 《감결(鑑訣)》의 십승지(十勝地)
    2. 《징비록(徵秘錄)》의 십승지(十勝地)
    3. 《운기구책(運奇龜策)》의 십승지(十勝地)
    4. 《비지론(秘知論)》의 십승지(十勝地)
    5. 《유산록(遊山錄)》의 십승지(十勝地)
    6. 《감인록(鑑寅錄)》의 십승지(十勝地)

    ㄷ. 종합(綜合) 고찰(考察) 및 결론(結論)
    부록(附錄)
    참고문헌(參考文獻)

    본문내용

    ㄱ. 서론(序論)

    종래 각 분야의 민속학(民俗學) 및 지리학(地理學) 연구 중에서도 타 분야에 비하여 다소 미흡한 분야가 바로 참서(讖書)에 대한 연구이다. 체계적인 연구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鄭鑑錄(정감록)》, 《格菴遺錄(격암유록)》《松下秘訣(송하비결)》, 《원효결서(元曉訣書)》가 대중서로서 여전히 환영받고 있는 상황은 이에 관한 보다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역성혁명사상(易姓革命思想), 일왕조(一王朝) 일국도(一國都) 사상(思想), 지상천국관(地上天國觀), 지기(地氣)쇠왕(衰旺) 사상(思想), 남조선(南朝鮮) 사상(思想), 특히 《鄭鑑錄(정감록)》에 진인(眞人)이 남해(南海)서 나타난다.또는 진인(眞人)이 남해도(南海島)에 나타난다.고 한 것이다. 〈십승지(十勝地)〉는 예외(例外) 없이 남도(南道)에 국한(局限)되어 있다는 것이 그것을 단적(端的)으로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강원도(江原道) 정선(旌善), 충청북도(忠淸北道) 보은(報恩),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公州), 경상북도(慶尙北道) 풍기(豐基), 예천(醴泉), 화산(花山), 전라북도(全羅北道)에 무주(茂朱), 부안(扶安), 운봉(雲峰) 등(等)이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의 남조선(南朝鮮) 사상(思想)과 깊은 관계가 있다.
    청화자(靑華子) 이중환(李重煥)은《擇里志(택리지)》에서옛사람이 우리나라를 노인형(老人形) 지세(地勢)고, 해좌사향(亥坐巳向)이어서 서쪽을 향하여 얼굴을 열어 중국과 마주보고 있는 상(象)이므로, 예부터 중국과 친하게 지냈다고 말한다. 또 천리 이상의 긴 물줄기와 백리 되는 들판이 없는 까닭에 거인(巨人)이 나지 못하고, 서쪽과 북쪽의 오랑캐와 여진족(女眞族)이 중국에 들어가서 한 차례씩 황제(黃帝) 노릇을 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없었다. 오직 우리의 영토(領土)만 조심히 지켜서 뜻을 감히 다른 데에 두지 못하였다.라고 하여 모화사상(慕華思想)에 뜻을 둔 지리관(地理觀)을 드러냈고, 또 〈팔역가거지(八域可居地)〉에서, 명산과 아름다운 물가는 생리가 박하다.

    참고자료

    · 《좋은 땅은 어디를 말함인가》, 崔昌祚(최창조) 지음, 서해문집, 모두 505쪽, 초판 6쇄―1992년 5월 20일.
    · 《完璧(완벽) 家庭寶鑑(가정보감)》, 韓百愚(한백우) 編著(편저), 眞文出版社(진문출판사), 모두 333쪽, 서기 1964년 1월 5일. 211쪽~214쪽/〈鄭鑑錄(정감록) 秘訣(비결) 出(출)〉1. 秘知論(비지론), 2. 出無題錄(출무제록), 3. 十勝地(십승지), ○. 其他(기타) 可避處(가피처).
    · 《택리지(擇里志)의 가거지(可居地) 경관(景觀)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전미경(全美璟), 서울: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대학원(大學院) 조경학과 조경전공(학위논문 박사), 227쪽.1996년, .
    · 《택리지의 가거지 조건과 비교한 현대의 주거지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김영인(金伶仁), 119쪽, 한양대학교(漢陽大學校) 대학원(大學院) 도시공학과 학위논문(석사), 2004년.
    · 《십승지: 사람 살기 좋은 땅과 피난, 보신의 땅》, 이태희(李台熙) 저(著), 서울:참나무, 301쪽, 1998년.
    · 《십승지지(十勝之地) 마을에 관(關)한 연구(硏究):입짐 및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신종일(辛宗一), 114쪽, 서울: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대학원(大學院) 건축공학과(建築工學科) 건축게획전공(建築計劃專攻) 학위논문(석사), 1992년.
    · 《풍수(風水)적 시각의 사진적 제시에 관한 연구:미래의 땅 십승지를 찾아서전(展) 작품론》, 노연성(盧沿成), 35장[도판6장], 199쪽, 서울; 홍익대학교(弘益大學校) 산업미술대학원 : 산업디자인전공 사진디자인세부전공,
    · 《십승지 고(考)(Survey of ten dispensation territory)》 황선명(黃善明), 종교와 문화(Religion and Culture)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The Institute of Religious Studies) 157-171(15쪽) 발행년도 : 1999년.
    · 《十勝地의 纖維工業에 關한 硏究(忠南維鳩의 例)》, 오세창(吳世昌), 社會文化硏究(THE JOURNAL OF SOCIOCULTURAL STUDIES) 83-93(11쪽) ,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Th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Studies Taegu University) , 1989년.
    · 《저고리 마름질 꼴과 십승지의 기호학적 유사성 연구》, 정옥임(조선대학교 가정학과 교수), 《服飾》, 한국복식학회(韓國服飾學會), 58권 9호(2008년 11월),
    · 《도참서류상(圖讖書類上)의 토지관(土地觀)에 대한 지리학적(地理學的) 해석(解釋)》, 최창조(崔昌祚), 《지리학논총(地理學論叢)》,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7호(1980년 12월)1쪽~147쪽.
    · 《鄭鑑錄과 擇里志의 可居地鄕 比較 硏究》, 芮庚熙(예경희) ․ 金在漢(김재한)
    · 《名山訣(명산결) 類合(유합)》, 朴栽道(박재도), 160쪽, 26Cm, 2001년 월 일, 서울:한국지리풍수연구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