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용환 김극명 김세원 김준규 배은영 박해경 이은영, 지역사회복지론, 창지사,2010.
· 강영걸 정주석 김경섭 김정우,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2.
· 강혜규 박수지 장원봉 장은진 이정은 박경희, 사회적기업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 실태 및 운영구조 연구 연구보고서 2011-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과, 세상에 희망을 일구는 사회적기업 63, 2012.
· 김건식 노혁준 박준 송옥렬 안수현 윤영식 최문희, 회사법 제3판, 박영사, 2012.
· 김기홍·조인환, 경영학개론 ,한울출판사, 2011.
· 김동희, 행정법 Ⅰ 제18판, 박영사, 2012.
· 김동희, 행정법 Ⅱ 제18판, 박영사, 2012.
· 김성기, 사회적기업의 이슈와 쟁점, 아르케, 2011.
· 김준호, 민법강의, 법문사, 2013.
· 박승희, 한국 사회보장론 - 스웨덴을 거울 삼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 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메뉴얼, 2012.
· 서윤환, 이용화, 구현자, 2011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동향-취업, 실업, 소득, 북한인권정보센터, 2012,
·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2.
· 이기수 유진희, 경제법 제9판, 세창출찬사, 2012.
· 이신영 박선영,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012.
· 이영호, 사회적기업, 범한서적, 2011.
· 이윤재, 사회적기업 경제, 탑북스, 2010.
· 이주성 신승훈, 미래 경제와 사회적기업, 도서출판 청람, 2011.
· 이철송, 회사법강의 제20판, 박영사, 2012.
· 이호영, 소비자보호법 제2판, 홍문사, 2012.
· 임혁백·김윤태·김철주·박찬웅·고형면,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기업, 송정문화사,2007.
· 장원봉, 사회적경제의 이론과 실제, 서울 나눔의 집, 2006
· 정태환, 한국의 복지정치, 학지사, 2012.
· 조영복, 사회적기업 국제비교, 사회적기업연구원, 2010.
· 지원림, 민법강의 제8판, 홍문사, 2013.
· 한상진 황미영,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부문, 집문당, 2009.
· 강병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강혜규·노대명·박세경·강병구·이상원·조원일·이병화, 사회서비스 확충방안 연구,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연구원, 2010년 사회적기업 개요집, 서울: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연구원, 2010.
· 곽선화, 사회적기업 3주년 성과분석, 고용노동부, 2010.
· 곽선화, 07인증 사회적기업의 현황 및 성과분석, 사회적기업연구, 2009
· 김경휘 반정호, 한국 상황에서의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소고, 노동정책연구, 2011.
· 김동준, 기업사회공헌과 사회적기업 프로그램의 전략적 연계, 노동부, 2008.
· 김성기, 사회적기업 특성에 관한 쟁점과 함의, 사회복지정책 제36권2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9.
· 김성기,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연구: 다중이해관계자 참여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김성수. 전략적 제휴, 무한경쟁시대의 생존대안, CEO information(제97호), 삼성경제연구소, 1997.
· 김용익, 복지와 경제의 선순환 : 사회적 일자리 창출계획, 미발표자료, 2004.
· 김재인, 지방정부의 사회적기업 성장모델 탐색 : 제주지역 사회적기업 운영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6권 제1호, 2012.
· 김제완, 양동수, 정태길,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우리나라 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법제처 연구용역보고서, 2012.
· 김종수, 가치와 문화 - 사회적기업 문화영역- 사회적기업의 역할, 동계학술대회및 정기총회, 2009.
· 김태영, 정책수단으로서의 사회적기업, 2009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09.
· 김학실, 행위자 특성에 따른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우선순위 연구, 지방행정연구,2011.
· 김혜원, 사회서비스 및 일자리 창출 확대를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과제, 2008년 민간협력 네트워크 역량강화 워크숍자료집, 한국사회적기업실천연구회, 2008.
·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일자리 창출 중심의 지원에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18집, 2011.
· 노대명. 한국의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 한국보건사회연구위원, 2008.
· 노대명, 사회적 일자리에서 사회적기업으로, 노동부 홈페이지(사회적기업), 한국보건사회연구위원, 2008.
· 류만희, 사회적기업의 지역개발 기능과 시장형성에 관한 연구: 원주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성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10.
· 문순영, 돌봄노동 일자리의 일자리 질(quality of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2011.
· 문순영·방대욱, 인증사회적기업의 고용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공공부문 돌봄서비스 일자리와의 비교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010.
· 박재환·이우진, 사회적기업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발전과제, 대한경영학회 2009년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
· 박지선 전은주, EU 사회적기업들의 지역네트워킹에 관한 연구, EU 연구, 2012.박찬임, 사회적기업의 현재적 의미, 월간복지동향, 2008.
· 방하남·이상호, 좋은 일자리’(Good job)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 2006.
· 선남이·박능후, 사회적기업의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2011.
· 손지아·박순미,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고용의 질에대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2011.
· 송태수,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소고,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4호 ,2012.
· 신유근, 현대의 기업과 사회:한국의 거시경영의 기초 경문사, 1994.
· 심창학, 사회적기업의 개념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유럽의 사회적기업을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2호, 2007.
· 양용희,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민간기금 조성과 금융지원 활성화방안,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11.
· 양준호, (지역과 세상을 바꾸는) 사회적기업, 두남, 2011.
· 엄형식, 한국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기업 : 유럽 경험과의 비교 및 시사점, 함께일하는재단, 2008.
· 오미옥, 사회적기업의 특성과 연관된 지속가능성장 방안, 한국지역사회복지학,2009.
· 윤언철,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가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 이동진, 기업의 사회공헌 관련 정책 동향과 과제, 전국경제인연합회, 2007.
· 이상헌, Decent work :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국제노동브리프, 2005.
· 이성균, 중장년층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 한국사회정책, 2009.
· 이영면·박상언, ‘고용의 질’에 관한 글로벌 기준과 측정지표, 인사관리연구, 2007.
· 이용탁, 사회적기업의 BSC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2008.
· 이인재, 한국 사회적기업의 쟁점과 전망, 동향과 전망, 2009.
· 이인제, 사회적기업 성공요인과 사회적기업‘컴윈’, 월간복지동향, 2006.
· 이태수,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변화 필요성, 사람입국일자리정
· 책심포지엄, 대통령자문사람입국신경쟁력특별위원회·대통령자문정책기회위원회, 2005.
· 이회수, 사회적기업 관련법제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1.
· 장우진·김렬·유근환,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방안: 충청북도의 제도적·행정적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2011.
· 장원봉, 한국 사회적기업의 실태와 전망, 동향과 전망, 2009.
· 전형수, 사회적기업의 육성 방안 -이혜관계자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2009.
· 정무성 황정은 김수영 현종철 서정민,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 공동체, 2010.
· 정무성 황정은 김수영 현종철, 서정민.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2.
· 정재규 윤진수,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육성을 위한 법적 과제 - 대기업의 지원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012.
· 조달호·김범식·최봉 서울형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정책방향, 서울시시정개발연구원, 2012.
· 조상미·김진숙·강철희, 사회적기업 정책특징 비교분석 연구: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한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11.
· 조성혜, 고령자의 고용촉진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10.
· 조영복, 제1차 사회적기업 인증 결과와 과제, 노동리뷰, 2007.
· 조영복·김혜원·양용희,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사회적기업연구1권 2호, 2008.
· 주성돈·이종원, 정부수준별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발전과제 -일자리형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011.
· 최동호, 조직문화유형과 조직 동일시, 조직몰입간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석사확위논문, 2010.
· 최성백,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정부정책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5호, 2006.
·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2005.
· 최조순,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최혁진, 협동조합의 경험에 기초한 사회적기업의 성장전략과 민관협력 및 제도개선 방안, 2010.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 가치 측정 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 홍석빈, 사회적기업의 지속 성장 가능성, http://www.lgeri.com LG경제연구원,2009.
· 홍성우.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 및 인증현황의 비교분석, 한국정책연구,2011.
· 홍성효·김종수·송두범, 충남 사회적기업의 고용창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충남발전연구원, 2012.
· 황미영, 사회적 경제조직으로서의 자활공동체의 실태와 전망, 시민사회와 NGO,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