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현, 김중환(2010). 노인복지관 물리치료실의 물리적 요법이 고혈압 관련 교감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vol.30. no.2. pp. 311-322.
· Lakatta E. G., & Levy D. (2003). Arterial and cardiac aging: major shareholders in cardiovascular disease enterprises: Part I: aging arteries: a "set up" for vascular disease. Circulation. 7:107(1), pp. 139-146.
· Perini, R., Fisher, N., Veicsteinas, A., & Pendergast, D. L.(2002). Aerobic training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at rest and during exercise in old men and women. MSSE. 34, pp. 1813-1820.
· Lovallo, W. R., & Thomas., T. L. (2000). Stress hormones in psychophy- siological research: emotional, behavioural, and cognitive implications. In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Eds: Cacioppo, J. T., Tassinary, L.G. and Berntson, G. G. 2nd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2-367.
· Donatelle, R. J., (2008). Access to health (10th ed). Benjamin Cummings.
· 남희승. 최은희, 박동식, 오지은, 김수진 , 이지연, 김아람(2010). 투석 환자에서 투석 중 운동프로그램이 투석의 효율도 및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8. no.2. pp. 119-124.
· Wolf S. (2000). The environment- brain- heart connection. Occup Med: State of the Art Reviews, 15(1), pp. 107-109.
· Schlemier R. P. (2000). Interactions between the hypothalamic- pituitary- adrenal axis and allergic inflammation. J Allergy Clin Immunol. 106, pp. S270-274.
· Eckberg, D. L. (1997). Sympathovagal balance : A critical apprisal. Circulation. 96, pp. 3224-3232.
· 김영희, 조수현(2002). 발 반사요법이 여대생의 월경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학회지. vol.8. no.2. pp. 270-278.
· 김주연(2007). 발 반사마사지가 여대생의 생리통 및 월경전증후군 완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지. vol.13. no.2. pp. 520-528.
· Tappan, F., & Bengamin, P. (1998). Tappan’s handbook of healing massage techniques: Classic, holistic and emerging method, 3rd edition. USA, Person Education Inc. 45.
· 송예헌(2004). 발반사마사지가 노인의 수면. 우울 및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박사학위 논문.
· Hayes, J., & Cox, C. (1999). Immediate effects of a five-minute foot massage on pations in critical care. Intensive Crit Care Nursing. 15(2), pp. 77-82.
· Statistics Korea. (2007). 2007 Statistics for Elderly Population.
· 정은숙, 이난희(2009). 향기요법 교육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예술학회지. vol.10. no.2. pp. 33-43.
· 강혜미, 한채정(2011). 스톤테라피를 이용한 복부관리가 중년 여성의 체지방 및 체열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2. no.2. pp. 143-157.
· 통계청(2008). 2007년 한국의 사회지표.
· 정수진, 윤은선, 손태열, 제세영(2011). 레크리에이셔널 댄스 운동이 노인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혈관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vol.20. no.1. pp. 35-46.
· 박지영, 장세철(2010). 차생활이 시설입소 여성노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차학회지. vol.16. no.2. pp. 88-95.
· 전형준, 김상섭, 성지동, 백도명(2001). 일반인구의 심박동수 변이의 결정인자들. Korean Circulation J. vol.3. no.1. pp. 107-113.
· 최환석, 옥선명, 김철민, 이병채, 정기삼, 이순주(2005). 유산소 운동이 Heart Rate Variability(HRV)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vol.26. no.9. pp. 561-566.
· Akselrod, S., Gordon, D., Ubel, F. A., Shannon, D. C., Berger, A. C., & Cohen, R. J. (1981)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 A quantitative probe of beat- to- beat cardiovascular control. Science 213, pp. 220-222.
·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1996).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s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Circulation. 93, pp. 1043-1065.
· Quintana, M., Storck, N., Lindblad, L. E., Lindvall, K., & Ericson, M. (1997) Heart rate variability as a means of assessing prognosis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3- year followup study. Eur Heart J. 18, pp. 789-797.
· 안성아(2008). 발 반사마사지가 골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통증, 신체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vol.14. no.4. pp. 1152-1159.
· 송예헌(2004) Op. cit., 충남대학교박사학위 논문.
· Ferrel-torry, A., & Glick, O. (1993). The use of therapeutic massage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modify anxiety and the perception of cancer pain. Cancer nursing. 18, 238-245.
· 이숙희, 배영숙(2007). 발 반사마사지가 와상노인의 혈액성상과 백혈구 아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지. vol.30. pp. 295-314.
· Lee, S. H. (2001). Physical aging and health. Social Research, 16, pp. 89-115.
· 김혜숙, 도주연(2010). 자연요법을 이용한 탈모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1. no.4. pp. 5-19.
· Kunz, B., & Kunz, K. (2003). Reflexology: health at your fingertrips, New York; DK Publishing, Inc, pp. 13-42.
· 김양례, 구해모, 조성식(2004). 노인의 체육활동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체육과학연구. vol.15. no.4. pp. 84-98.
· 이미경(2008). 발 반사마사지가 요양시설 노인의 자율신경계 조절 및 통증, 수면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