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노년기의 심리적 스트레스는 노인에게 신체․심리적인 반응을 유발하며,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은 신체적 질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이 된다(Wilson, Arnold, Schneider, Li, & Bennet,, 2007).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가 높아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력과 대처자원이 부족한 노인들은 심리적 불안과 우울에 빠지기 쉽다(조은주, 2011). 최근 한 언론매체에서는 노인 10명 중 1명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고 자살을 생각한 10명 중 1명은 실제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밝혔다(안영희, 2012). 현대 노인들의 86%이상이 약한 우울증상을, 약 37%가 심각한 우울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해마다 10%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연숙, 2008). 노인의 중요한 스트레스 원인 인 수면양상의 변화 역시 신체, 정신적 문제로 더 심화될 수 있다
<중 략>
구자은(2006)은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단전호흡이 적용된 한국무용을 12주간 실시하여 팔, 다리, 등 전신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통해 심폐기능이 증진되었음을 밝혔으며, 구란영(2006)은 한국무용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무용 수행 후 심박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음을 주장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정진욱, 김수미, 권미애, 정경희, 김정언(2009)은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건강한 노인여성과 당뇨병, 고혈압, 당뇨병 고혈압 합병증 노인여성의 혈압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한국무용이 심혈관계 기능개선에 효과적인 운동으로써의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구란영(2006). 한국무용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 구자은(2006). 춤 체조에 참여하는 중, 노년층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을 분석.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박인서, 김승재(2012). “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한국체육학회지. 51(1). 193-206.
· 박주영, 민현주, 김남정(2008). 26주간의 시니어 신체리듬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노인여성의 체력과 혈중지질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57. 1598-1672.
· 박혜진, 박계순, 김경한, 전찬복, 이한준(2009). 모던댄스운동이 노인여성의 혈압 및 심혈관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 1255-1264.
· 보건복지부(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 손정태(2012). 고혈압노인과 정상혈압노인 및 청년의 식후혈압 변화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2). 5849-5859.
· 송미순, 김선호(2011). 범이론모형(Transtheoretical Model)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364-377.
· 송애랑(2001). 여가활동프로그램중재가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 안영희(2012). 음악, 동작치료 프로그램이 만성질환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8. 69-81.
·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1998). 수면측정 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3). 563-572.
· 육성필, 김중술(1996).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49.
· 이건미(2002). 한국무용이 노인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 이경숙(2007).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 체조가 중 노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 논문. 순천향대학교.
· 이귀영(2003).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애덕, 이주립(2003). 한국무용 동작을 통한 노인의 체력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2(5). 631-637.
· 이연숙(2008).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가 일상생활 수행 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2). 343-364.
· 이영호, 송종용(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5. 98-113.
· 이윤경, 전태유, 박노현(2010). 노인 생활무용 참가에 따른 우울증 및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 1-16.
· 이청무, 박현정, 황명자(2011). 규칙적인 한국무용 활동이 여성 노인의 혈중 BDNF와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5. 99-109.
· 임번장(2002). 생활체육 비전 2010. 문화관광부 생활체육과.
· 정진욱, 김수미, 권미애, 정경희, 김정언(2009).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노인 여성의 고혈압 당뇨병 환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7. 329.
· 조남규(1999). 살풀이춤과 한량무 수행 시 시간 흐름에 따른 심폐기능 및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 미간행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대학원.
· 조은주(2011).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홍계희(2007). 노인들이 선호하는 신체활동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3). 273-284.
· 홍예주(2008). 12주간 한국무용 참여와 멜라토닌 투여가 노인여성의 노화호르몬과 면역물질 및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 561-571.
· Beck, A. T., Epstein, N., Brown, G., & Steer, R. A. (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56. 893-897.
· Emery, D. R., & Gatz, R. (1990). O bjective circumstances, life satisfactions and sense of well-being: Consistences across time and place. New Zealand Psychologist, 12. 14-22.
· Farmer, M. E., Locke, B. Z., & Mosciki, E. K. (1998).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 the NHANESI epi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Epideniology, 128. 1340-1351.
· Floyd, J. A. (1993). “The use of across-method triangulation in the study of sleep concerns is healthy older adults”. Adv Nurse Sci, 16(2). 70-80
· Fox, K. R. (1997). The physical self: From motivation to well-being.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Hackam, D. G., Khan N. A., Hemmelgarn, B. R., Rabkin, S. W., Touyz, R. M., & Campbell, N. R. (2010). "The 2010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tion: part 2 - therapy." Can J Cardiol, 26(5). 249-258.
· Jessie, J. C., & Debra, J. R. (2005). Physical Activity Instruction of Older Adults, Human Kinetics.
· Johnson, J., Waldo, M., & Johnson, R. G. (1993).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rural elderly. J. Gerontol. Nurs, 19(9). 24-29.
· Jones, C. J., & Rose, D. J. (2006). Physical Activity Instruction Of Older Adults, IL: Human Kinetics.
· Kasch, F. W., Boyer, J. L., & Van Camp, S. P. (1988).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and inactivity in aerobic power in older men. Phys. Sportsmen, 18. 73-83.
· Mendelson, W. B. (1995). The Relationship of Sleepiness and Blood Pressure to Respiratory Variabl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 108(4). 966-972.
· Pardon, M. C. (2007). "Stress and ageing interactions : a paradox in the context of shared etiological and physiopathological processes." Brain. Res. Rev, 54(2). 251-273.
· Patterson, I. (1996).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by older adults after a stressful life event: The loss of a spouse. Int. J. Aging. Hum. Dev, 42. 123-142.
· Ready, A. E., Naimark, B., Ducas, J., Sawatzky, J. V., Boreskie, S. L., Drinkwater, D. T., & Oosterveen, S. (1996). Influence of walking volume on health benefits in women post-menopause. Med. Sci. Sports. Exerc, 28(9). 1097-1105.
· Rosenthal, T., & Oparil S. (2000). Hypertension in women. J. Hum. Hypertens, 14. 691-704.
· Vanhelder, W. P. (1985). Hormonal responses to high and moderate intensity strength exercise. Eur. J. Appl. Physiol, 82. 121-128.
· West, J., Otte, C., Geher, K., Johnson, J., & Mohr, D. (2004). Effects of Hatha yoga and African dance on perceived stress, affect, and salivary cortisol. Ann Behav Med, 28(2). 114-118.
· Wilson, R. S., Arnold, S. E., Schneider, J. A., Li, Y., & Bennet, D. A. (2007). “Chronic Distress, Age-Related Neuropathology, and Late-Life Dementia,” Psychosom Med, 69. 4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