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CKP중년여성의 대퇴부 근육과 무릎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CKP중년여성의 대퇴부 근육과 무릎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8.20 최종저작일 2013.04
12P 미리보기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CKP중년여성의 대퇴부 근육과 무릎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댄스스포츠 수행 프로그램
    3. 측정 도구 및 방법

    Ⅲ. 결과
    1. 대퇴부 근육 두께의 변화
    2. 무릎관절 각속도의 변화

    Ⅳ. 논의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무릎 주변 근육간의 균형이 깨지고 근육의 약화로 인하여 발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성 무릎관절통(Chronic knee pain, CKP)은 무릎 골관절염, 무릎 전방 통증 증후군, 무릎 대퇴 통증 증후군 등이 있다. 무릎 골관절염은 신전과 굴곡을 일으키는 근육 집단의 약화로 초래 되며(Creamer, & Hochberg, 1997), 대퇴사두근과 슬괵근의 근질량 및 기능이 저하된다(Ettinger, Burns, & Messier, 1997). 또한 무릎관절의 정상적인 배열은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균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두 근육사이에 발생되는 힘의 불균형이 무릎 대퇴 통증 증후근으로 나타나 무릎관절염의 원인이 된다. 내 외측광근의 불균형 증상을 가진 퇴행성 관절염환자는 무릎 대퇴관절에서 슬개골의 외측으로 편위와 압력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김용억, 2008), 고관절의 외전근과 외측회전근이 약화된다(Boling, Padua, & Alexander, 2009). 대퇴사두근중 외측광근과 내측광근의 경사갈래가 슬개골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김용숙, 2001), 무릎 관절통의 감소를 위해서는 점진적인 신체 활동을 유도하여 대퇴부 근육의 근력을 증가시켜야 하며,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중 략>

    50-70세 사이에 매 10년마다 약 15%씩 근력이 감소한다(Vandervoort, & McComas, 1986). 특히 내측광근의 근 약화 및 근 위축은 무릎관절통 환자에게 흔히 보이는 생리학적인 변화로(Pal et al., 2011), 치료를 위해서는 선택적인 내측광근의 근력 강화 운동이 중요하다(고은경, 이근희, 정도영, 2011). 슬개대퇴 관절의 안정성이나 슬개골의 위치는 대부분 대퇴사두근의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동적 균형에 의해 유지된다(Sheehy, Burdett, & Irrgang, 1998). 또한 최대근력은 사용근육의 최대운동능력을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최대근력을 대상자의 체중으로 나눌 경우 체중이 서로 상이한 대상자들 간의 상대적인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의 근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수로 알려져 있다(서자욱, 2011).

    참고자료

    · 강경자, 이은진(2000). 퇴행성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이 지각한 가족지지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대한류마티스 건강전문학회. 7(1). 5-24.
    · 고은경, 이근희, 정도영(2011). 쪼그려 앉기(Leg Squat) 운동 시 등척성 고관절 내․외전이 내․외측광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1(3). 361-368
    · 권병주(2007). 댄스스포츠 경기종목별 운동 강도 추정.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김성아, 송영은, 이진오, 강상조(2005). 보행계수기를 이용한 댄스스포츠(차차차, 자이브)의 에너지 소비량 추정.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7(2). 75-88.
    · 김용숙(2001). 댄스 스포츠가 여성의 하지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김용억(2008).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대퇴사두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 6(1). 31-42.
    · 김효정, 안문용, 김창근(2003). 장기간의 운동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폐경 전 중년여성의 체간부위 근육군의 발달 형태. 한국체육학회지. 42(6). 741-748.
    · 박계순(1997). 댄스스포츠와 건강. 댄스스포츠 발전 세미나. 한국댄스스포츠연맹.
    · 박준령2004). 댄스스포츠 운동이 대사증후군 노인의 위험요인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용선(2010). Spike 파라메터를 이용한 대퇴사두근의 연령별 운동단위 동원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 서자욱(2011). 고령자의 운동빈도에 따른 무릎관절 등속성 근력 변화.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
    · 소향숙(2000). 골다공증, 골관절염의 예방과 치료. 성인간호학회. 춘계학술대회.
    · 조성우, 강연경(2010). 퇴행성 슬관절염의 보존적 치료의 최신 연구 -2000~2009년 발표된 임상논문을 중심으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4(6). 1117-1128.
    · 전태원, 최승권(1990). 운동검사 및 처방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금광.
    · 정미송(2007). 댄스스포츠 종목별 에너지 소모량의 유용성. 한국무용과학회. 14. 1-11.
    · 오정은(2011). 댄스스포츠 참여가 노인여성의 건강관련 체력 및 요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체육대학원
    · 이정현(2003). 라틴아메리카 댄스스포츠의 운동강도 및 심박수의 차이분석. 전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5. 243-253.
    · 이혜정(2009). 9주간의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최은영(2010). 정적 부분 쪼그리기 시 무릎 자세에 따른 하지 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 Boling, M. C., Padua, D. A., & Alexander, C. R. (2009). Concentric and eccentric torque of the hip musculature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J Athletic Training, 44(1). 7-13.
    · Bunning, R. D., & Materson, R. S. (1991). A rational program of exercise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emin Arthritis Rheum, 21. 33-43.
    · Creamer, P., & Hochberg, M. C. (1997). Osteoarthritis. Lancet, 350. 503-509.
    · Ettinger, W. H., Jr Burns, R., & Messier, S. P. (1997).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with health education program in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the fitness arthritis and seniors(FAST). JAMA, 227(1). 25-31.
    · Hopkins, D. R., Murrah, B., Hoeger, W. W., & Rhodes, R. C. (1990). Effect of low-impact aerobic dance on the functional fitness of elderly women. Gerontologist, 30(2). 189-192.
    · Hui, E., Chui, T. B., & Woo, J. (2008). Effects of dance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persons. Arch Gerontol Geriatr, 49(1). 45-50.
    · LaforeM. M., Cyr, J., & Gayton, D. (1990). Effects of age and regular exercise on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Eur J Appl Physiol, 60(2). 104-111.
    · Lynn Palmer M., Marcia E. Epler. (1998). Fundamental of Musculoskeletal Assessment Techniques. 2n.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Publishers. 311.
    · Mcalindon, E. E., Cooper. C.. Kirwan, J. R., & Dieppe. P. A. (1993). Determinants of disability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nn Rheuin Dis, 52. 258-262.
    · Pal, S., Draper, C. E., Fredericson, M., Gold, G. E., Delp, S. L., Beaupre, G. S., & Besier, T. F. (2011). Patellar maltracking correlates with vastus medialis activation delay in patellofemoral pain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39(3). 590-598.
    · Segal, N A., Torner, J. C., Felson, D., Niu, J., Sharma, L., Lewis, C. E, & Nevitt, M. (2009). “Effect of thigh strength on incident radiographic and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in a longitudinal cohort”. Arth Rheum, 61(9). 1210-1217.
    · Sheehy, P., Burdett, R. G., & Irrgang, J. J. (1998).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activity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steps. J Orthop Sports Phys Ther, 27(6):423-9.
    · Tsakoniti, A. E., Stoupis, C. A., & Athanasopoulos, S. I. (2008). “Quadriceps cross-sectional area changes in young healthy men with different magnitude of Q-agle”. J Appl Physiol, 105(3). 800-804.
    · Vandervoort, A. A., & McComas, A. J. (1986). Contractile changes in opposing muscles of the human ankle joint with aging. J Appl Physiol, 61(1). 361-36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