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현, 박수현, 강현식, 한태경, 이신호, 이상화, 홍혜련(2007). 허리둘레와 BMI 기준에 따른 비만집단 간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대사증후군 지표 비교. 한국운동생리학회. 16(2), pp. 95-102.
· DeFronzo, R. A., & Ferrannini, E. (1991).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14(3), pp. 173-194.
· 박수현, 박수현, 강현식, 한태경, 이신호, 이상화, 홍혜련 (2007). Op. cit., 16(2), pp. 95-1022.
· 보건복지부(2008). 2007년도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 . Seoul.
· Cohen H,. & Goldberg C. (1960).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alimentary lipemia. Br Med J. 7, pp. 509-511.
· 양경미, 장정현(2009). 한방영양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과체중 및 비만여성에 대한 생화학적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1), pp. 293-301.
· Williams, P. T., Krauss, P. D., & Wood, F. T. (1986). Lipoporotein subfractions of runners and sedentary men. Metabolism. 35(1), pp. 45-52.
· 송용범, 경종수, 박성범, 위재준, 도재호, 김영숙(2008). 홍삼물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에서 간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32(4), pp. 283-290.
· 신길란, 엄진하(2008). 경락마사지가 여성복부비만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3), pp. 774-781.
· 윤은재, 김영란(2009). 여대생의 하체 비만관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8), pp. 360-366.
· 김태임, 남미정(2007). 향 요법 복부 경락마사지가 뇌성마비 아동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3(1), pp. 90-101.
· 이군자(2005). 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체구성 체력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7), pp. 1248-1257.
· 대한비만학회(2005). 한국인에서 비만 및 복부비만 기준을 위한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분별점 설정사업보고서. 서울:의학문화사.
· 이삼열(2000). 임상병리검사법.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Matsuzawa, Y, Nakamura, T, Shimomura, I.., & Kotani, K. (1995).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Research Supplement. 5, pp. 645-647.
· 문현화(2009).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액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1(2), pp. 85-95.
· Lewis(2003). Hormone Replacement Thrap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3, pp. 11-16.
· 강미영, 한나리, 한채정(2011). 괄사요법이 여대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혈관 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2(1), pp. 127-142.
· McKeigue P. M, Shah B., & Marmot M. G. (1991). Relation of central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ith high diabetes prevalence and cardiovascular risk in South Asians. Lancet. 337, pp. 382-386.
· 정하나, 김정희(2008). 여대생의 HDL-콜레스테롤 수준에 따른 임상건강지표와 영양섭취 실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3(1), pp. 100-110.
· 성기홍, 장지훈, 김창규, 염태순 ,정구철, 이동수(2001). 경락 마사지와 규칙적 신체 활동이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5(1), pp. 33-47.
· 김명숙(2003).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특성과 비만관리 실시효과/기본요법과 아로마 복부마사지요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길란, 엄진하(2008). Op. cit.,14(3), pp. 774-781.
· 김봉인, 홍승정(2002). 복부 비만 대상자에 관한 경락마사지의 효과적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pp. 85-94.
· Genest, J., & Cohn, J. S. (1995). Clustering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Targeting high risk individuals. Am. J. Cardiol. 76, pp. 8-20.
· 이주현, 박래준, 임진숙(2009). 경락마사지와 기능적 전기자극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0(4), pp. 6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