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자, “한국의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 평등, 참여, 복지를 중심으로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김소영•어수봉, “여성고용차별의 자율개선 추진 방안 - 남녀고용평등 인지도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총연맹, 1993.
· 김엘림, “국제조약과 한국여성노동관계법의 비교연구”, 여성연구 통권 제44호.
· 김엘림, “여성복지관계법제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1990, 70-116.
· 김유배, “여성근로자 모성보호 비용의 사회부담화 방안”(토론회 보고서), 대한 YMCA, 1993.
· 김태흥,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여성연구 제38호, 1993, pp.107-108
· 남춘호 역, 『새로운 사회학의 이해』, 나남사, 1983, p.267.
· 노미혜 외,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1992, pp.94-95.
· 문소정, “여성과 법” 『여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사회문화연구소, 1994.
· 문소정외, “부산지역 취업여성의 실태와 문제점”, 『부산여대 여성연구논집』, 제6집, 부산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995.
· 박경숙, “복지사회와 여성”, 『21세기와 여성』, 한국여성개발원 개원 1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자료집, 1993.
· 신용자, “세계 주요국의 남녀고용평등법제의 운용과 현황”, BPW 한국 연맹, 1991.
· 신인령 역, “여성해방의 이론체계”, 풀빛, 1983, p.160.
· 안홍길, “모집•채용 및 배치과정에서의 성차별에 관한 연구 : 남녀고용평등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우재현, 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 남녀고용평등법 정착토론회 주제발표문, 1990, 12면.
· 윤후정•신인령, 『법여성학 - 평등권과 여성』,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1.
· 이은영, “신체접촉, 왜 수인한도 밖인가?”, 『직장내 성희롱, 어떻게 볼 것인가 : 서울대 성희롱 사건을 계기로』, 남녀고용평등을 위한 교수모임주최 토론회자료.
· 이태영, “현대사회와 여성”, 현대사회와 여성,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86, pp.20-26.
· 정서화•오은경 공저, “성차의 형성과정”, 이화여대출판부, 1983, pp.2-9.
· 정연앙, 『여성근로자의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1994.
· 정재훈, “복지페미니즘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p.28
· 조순경, “고용과 평등의 딜레마?”, 『한국 여성학』, 제10집, 1994.
· 최연희, “남녀고용평등법에 관한 연구” - 그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 , 1996, pp.23-34.
· 한정자 역, “성차별 본질”, 여성발전 지도자, 한국여성개발원, 1987, p.10
· 한정현, 『남녀고용평등법』, 법정출판사, 1994, 41면.
· 등에편집부, 『여성취업과 탁아운동』, 등에, 1989.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여성고용차별의 자율개선 추진방안』, 1993, pp.105-107.
·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집, 『새로운 사회학 강의』, 미래사, 1990, p.226.
· 한국여성개발원, 『동일노동 동일임금에 관한 연구』,1994.
· 한국여성개발원, 『여성발전과 지도자』, 천풍인쇄주식회사, 1989, pp.201-229.
· F.W<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