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병인
2. 폐렴 유형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합병증
6. 진단검사
7. 협렵관리
Ⅲ. 대상자 사정
1. 간호력
2. 현병력
Ⅳ. 약물
Ⅴ. 진단검사
Ⅵ. 간호과정
1. 염증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비효율적 호흡과 관련된 급성통증
본문내용
폐렴이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을 의미한다. 폐렴은 바이러스, mycoplasma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 최근에는 chlamydia같은 세균이 원인이 되고 있다. 연령군에 따라 원인물질이 다르며 같은 원인균일지라도 연령과 일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임상적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폐렴은 노인층에 가장 많으나 어느 연령에서든지 이환될 수 있다. 입원대상자는 1~5%가 병원에서 폐렴에 감염되었으며, 병원 사망률의 15%를 점유한다. 비교적 건강한 성인도 폐렴에 걸릴 수 있으나 유발요인을 가진 사람이 더 쉽게 이환된다. 특히 유아 및 학령기 아동에서 폐렴의 이환율이 높고 소아과 병동에서 실습을 하면서 폐렴 환아들의 비율이 컸다. 성인에게는 폐렴이라는 질병이 감기처럼 가볍게 여겨질 수 있지만 이제 낳은지 한달도 안되는 신생아나 연약한 소아들은 폐렴에도 위험한 상황을 맞을 수 있는 아주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되었고,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병인
(1) 정상 방어기전 : 공기 여과, 흡입 공기의 가온 및 가습, 후두개의 기도 차단, 기침반사, 점액섬모의 상승기전, 면역글로불린 A 분비, 폐포대식세포 등을 포함한다.
(2) 폐렴 선행요인 : 노화, 공기오염, 의식변화(알코올 중독, 두부 손상, 발작, 마취, 약물 과용, 뇌졸중), 항생제로 인해 2차적으로 나타난 구인두 내 정상 균의 변화, 침상 안정과 오랜 기간의 부동, 만성질환(만성 폐질환, 당뇨병, 심장질환, 암, 말기신질환), 몸이 쇠약해지는 질환, HIV감염, 면역억제제(코티코스테로이드, 항암화학요법제, 장기이식 후 면역 억제제치료), 유해 물질의 흡입이나 흡인, 비위관이나 비장관을 통한 위장관 급식, 영양실조, 흡연, 기관내삽관(기관내관, 기관절개관), 상부 호흡기계 감염
참고 자료
신경림 외(2010), 성인간호학Ⅰ, 서울 : 현문사
홍경자 외(2009), 아동간호학Ⅱ, 서울 : 수문사
고일선 외(2004), 임상간호매뉴얼Ⅱ, 서울 : 현문사
강병철 외(2005), 임상간호의 핵심Ⅰ, 서울 : 한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