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진학] 사진의 역사

사진의 시작인 옵스큐라부터 인간가족전까지 사진의 역사에 대한 글입니다. 표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6.13 최종저작일 2003.06
31P 미리보기
[사진학] 사진의 역사
  • 미리보기

    소개

    사진의 시작인 옵스큐라부터 인간가족전까지 사진의 역사에 대한 글입니다.
    표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차

    1. 사진의 시작 - 카메라 옵스쿠라

    2. 토마스 웨지우드(Thomas Wedgwood)와 헬리오 그라프(Heliography)
    1)토마스 웨지우드 (Thomas Wedgwood)
    2)헬리오그라프 (Heliography)

    3. 다게레오타입(Daguerreotype)과 칼로타입(Calotype)
    1)다게레오타입(Daguerreotype)
    2)칼로타입(Calotype)

    4. 콜로디온 습판법 (Collodion Wet-Plate)

    5. 초상사진 (Portraits)

    6. 전쟁사진 (War Photography)
    1)전쟁사진 (War Photography)
    2)크리미아 전쟁에서의 로저 펜튼(Roger Fenton)
    3)남북전쟁에서의 매튜 브래디(Mathew B. Brady)

    7. 19C 예술사진 (19C Art Photography)
    1)귀스타브 르그레
    2)오스카 G. 레일랜더 (Oscar Gustave Rejlander)
    3)헨리 피치 로빈슨 (Henrry Peach Robinson)

    8. 자연주의 사진 (Naturalistic Photography)

    9. 포토 캠페인 (Photo Campaign)
    1)자곱 리스 (Jacob Riis) 1890∼1976
    2)루이스 하인 (Lewis W. Hine) 미국, 1874∼1940

    10. 바우하우스 ( Bauhaus, 1919 ∼ 1933 )

    11. FSA (농업안정국,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1935∼1942
    1)워커 에반스 (Walker Evans)
    2)도로시어 랭 (Dorothea Lange)
    3)아더 로드스타인(Arthur Rothestein)

    12. 그래프 저널리즘(Graph-Journalis) 시대
    1)「 라이프(Life) 」
    2)「 루크(Look) 」

    13. 매그넘 (Magnum)

    14. 인간가족전 (The Family of Man)

    본문내용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직접 양화방식(Positif direct)으로서 니엡스가 발명했을 당시의 희미한 이미지를 뚜렷히 드러내어 선명도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도 다게르는 10년전의 니엡스와의 계약관계가 계속 유효하였기 때문에 니엡스와의 발명과는 별개의 발명으로 남고자하여 니세포르 니엡스의 아들 이시도르 니엡스에게 액면가격 1천프랑짜리 주식 4백매를 발매하여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므로써 다게레오 타입은 다게르만의 독창적인 발명으로 남게되었다.
    초기의 다게레오 타입은 노출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그 시간으로는 움직이는 물체나 사람들을 촬영하고 나면 그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그래서 주로 건축물이나 풍경등 주로 고정된 이미지를 주축으로 하여 사진 촬영에 임하였는데 일부에서는 사람들의 욕구에 따라 자신의 모습이나 가족의 모습을 사진에 담고 싶어하여 초상사진도 제작되었다. 그당시 초상사진을 찍으려면 카메라 앞에 않은 사람들은 10분에서 20분 가량 처음 취한 자세와 똑같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초상사진이 완성될 수 있었기에 초상사진에 찍히는 인물들은 큰 곤욕을 치러야만 했고 이렇게 어렵게 얻어진 사진들을 보면 고통스런 표정이 가득하였다. 또는 오랜동안 카메라 앞에서 자세를 취함이 불편하여 짧은 노출시간으로 사진을 완성하고자 하여 강한 빛을 인공적인 방법으로 거울로 반사시켜 조명을 주는 방법도 채택되었으나 이또한 조명이 너무 강렬한 나머지 초상사진을 찍고자 하는 사람들을 힘들게 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다게르는 마지막 이 초상문제에 더 이상 혁신적인 개발을 이루지 못하고 1851년에 사망하였다.
    1840년 후반에는 다게레오 타입에 세가지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하여 발전시킬 수 있었는데 그 첫번째가 비엔나의 피터 프리드리히 포히틀랜더(Peter Friedrich Voigtlander)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다게르의 렌즈보다 22배나 더 밝은 개량 렌즈를 선보였다. 이 개량 렌즈는 독일렌즈(Germn Lenses)라고도 불렀는데 이 렌즈는 빛을 많이 받아들이도록 되어있어 노출시간을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하게되었다. 두번째 기술개발은 런던의 존 프레드릭 고다드(John Frederick Goddard)에 의해서 이루어졌는데 감광판을 요오드화은으로 감광성을 입히는 대신에 할로겐으로 처리하여 빛에 대한 감광도를 한층 더 높여 노출시간을 줄이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