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정신보건 전문가의 역할

"정신보건 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3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6.13 최종저작일 2003.06
32P 미리보기
정신보건 전문가의 역할
  • 미리보기

    목차

    I. 정신과의사
    1. 일반 정신의학에서 정신과의사의 역할
    (1) 정신의학의 기본적인 특성
    (2) 정신과의사의 특수한 기술
    (3) 다른 전문가와의 관계

    2. 지역사회 정신보건과 정신과의사
    (1) 지역사회 내에서 정신과의사의 역할
    (2)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개념도입에 따른 장애요인
    (3) 초기도입 단계에 정신과의사의 역할
    (4) 확산기에 정신과의사의 역할

    II. 정신보건간호사
    1. 정신간호의 기본원칙
    2. 기능적 정의
    3. 역할
    4. 전문직으로서의 특징
    5. 전문가로서의 강점
    6. 전문가로서의 약점
    7. 지역사회 내에서의 역할

    III.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1. 전문직의 정의
    2. 기본적 원칙
    (1) 가치
    (2) 목적
    (3) 인가
    (4) 지식
    (5) 방법
    3. 임상사회사업가의 강점과 고유성
    4. 임상사회복지사의 약점
    5. 정신보건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IV.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1. 기본 원칙
    2. 임상심리학의 기능적 정의
    3. 임상심리학의 활동분야
    4. 전문직으로서 임상심리학의 강점
    5. 전문직으로서 임상심리학의 약점
    6. 지역사회 정신보건에서 임상심리사의 역할
    (1) 평가자 역할
    (2) 치료자의 역할
    (3) 연구자의 역할

    본문내용

    최근 국내의 정신보건 분야에 지역사회 정신보건과 정신사회 재활치료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각 분야별 정신보건 전문가들이 담당해야 할 역할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물론 현재까지의 의학적 모델에 의한 치료라는 개념은 앞으로도 계속 중요하게 남아 있겠지만, 서비스의 대상집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지역사회 내의 활동을 해야 하고 예전과는 다른 새로운 재활서비스를 개발제공해야 하며, 전통적인 치료방법보다는 건강증진과 예방 (1차, 2차, 3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통합된 노력에 의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므로, 개념도입 초기단계에는 각 분야별 역할설정에 일시적인 혼란이 예상된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이 도입되는 시기에는 어느 나라든 각 전문가 집단 사이에 자신들의 역할, 권리, 의무 등에 대한 심각한 논란이 있었고, 심지어는 이 개념의 도입 자체를 부정하려는 완강한 움직임들도 있었으며, 상당 기간이 경과된 현재에도 각 전문집단들 간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또한 일정한 형태의 조직, 시설, 병원 등에서 행해지던 의료행위가 지역사회 내로 이동되어야 하고, 대상주민의 요구에 맞도록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해야 하는 (소위 공급자의 시장에서 수요자의 시장으로 전환되는) 문제 등 기득권의 상실이 다소라도 동반될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어려움에 당면하게 된다.

    참고자료

    · 김규수 (1994): 지역사회 정신 보건 사업에서 사회사업의 역할과 과제. ’ 94 한국정신보건 연구회 토론회 자료집
    · 김소야자 (1994): 지역사회 정신 보건에서 정신간호사의 역할과 과제. ’ 94 한국정신보건 연구회 토론회 자료집
    · 권정혜 (1995): 지역사회 정신 보건 사업의 과제 및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임상심리학회
    · 95년도 제1차 심포지엄.
    · Addams J (1918): Twenty Years at Hull House. New York, Macmillan Press
    · Blum JD (1978): On changes in psychiatric diagnosis over time. American Psychologist 33:1017-1031
    · Chestang LW (1979): Competencies and knowledge in clinical social work : Duel perspective, National Association of Socail Worker's Conference Proceedings - Toward a Definition of Clinical Social Work, Washin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Cooper S (1980): The masters and beyond, In: Psychotherapy and Training in Clinical Social Work Ed. by Mishne J. New York: Gardner Press.
    · Duffy E, Steuding E (1982): An Exploratory Study: The Effects of Touch on the elderly in a nursing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Rutgers University, Nes Brunswick, NJ.
    · Kendall K (1970): Social Work Values in an age of discontent, New York: Council of Social Work Education.
    · Minahan K (1980): Editorial, Social Work:171.
    · Northern H (1982): Clinical Social Work,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Pinkus H (1975): Education at the master's level for the practice of clinical social work , Unpubilshed position paper.
    · Reynolds BC (1934): A study of responsibility in social case work. Smith College Studies in Social Work, pp126-127
    · Richmond ME (1917): Social Diagnosi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 Rittman (1989): Nursing Case Management: Holistic care for the Deinstitutionalized chronically mentally ill.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27(11):23-27
    · Smoyak S (1977): Homes: A natural environment for the family therapy. In J. Hall & B Weaver(Eds), Distributive Nursing Practice: A Systems Approach to Community Health(pp. 369-380), New York: J B Lippincott Co.
    · Strean HS (1978): Clinical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The Free Press.
    · Van Stone WW (1987): Psychiatry and national health professionals: New roles for
    · changing times. Group for advancement of psychiatry. New York, Brunner/Maze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