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근대사] 일본 근대화의 성공 원인 - 메이지유신 이후의 근대적 사회 변화 원인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3.06.12
- 최종 저작일
- 2003.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일본과 중국의 근대화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해보았습니다.
또한 이로 인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목차
◎ 개요
◎ 들어가는 말
1. 근대화란 무엇인가
1) 서양의 근대의 특징
2) 동양의 근대의 특징
◎ 가운데
1. 일본 근대화의 배경 - 도쿠가와 막부시대의 사회변화
1) 쇄국정책
2) 사회경제적 변화
3) 사상적 변화
2. 메이지유신의 배경
1) 개항 - 막부체제의 동요
3. 메이지유신의 전개
1) 문화, 사상적 변화
2) 정치적 변화
3) 사회적 변화
4) 경제적 변화
5) 메이지유신 영향
4.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한 원인
1) 사상적, 대응논리의 차이로 인한 원인
2) 주동세력의 차이로 인한 원인
3) 외압의 차이
4) 권력구조의 차이
◎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들어가는 말
우리는 역사를 구분 할 때 '고대, 중세, 근대'의 3시대 구분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역사구분이 시도된 이유는 인류 전체의 방대한 역사를 한번에 이해함이 불가능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리는 올바른 역사를 위하여 여러 방편으로 역사를 나누어 이해하고자 한다.
이 중 시대구분은 역사 전체의 사건을 하나의 통일성 하에 파악함이 지극히 어렵기에 시도된 것으로, 시작과 끝을 나눌 수 없는 역사를 특정한 변화의 특징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는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시대구분은 그에 맞는 기준이 필요하며 각 시대를 적절히 평가하여 그에 대한 종합적 안목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렇다면 근대화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서는 동서양 학자들에 의해 많은 논의가 있어왔다. 많은 논의 가운데 공통된 의견은 정치, 경제, 사회, 사상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은 시기를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인류 사회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던 시기를 지칭한다.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자면 근대란 정치적으로는 국민의 참정권이 보장되는 민주주의 사회를, 그리고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 사회를, 사회적으로는 신분제도가 타파된 평등사회를, 사상적으로는 합리적 사상이 존재하는 사회를 지칭한다 생각된다.
근대는 동양과 서양의 근대화 기반의 차이로 각기 다른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이 둘은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을까.
참고 자료
김순전. <서구의 충격과 한·일 문학의 대응 양상>. <<일본근대문학-연구와비평>> 1. (2002. 5) pp.121-150.
김영호. <개항기 한일간의 사상적 대응형태>. <<일본의 침략정책연구원>>. 1984.
서정택. <메이지 유신(명치유신)의 성공원인과 의의>.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1.
이왕근. <일본의 근대화에 관한 연구 :에도시대와 메이지유신을 중심으로>.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현종. <개항 전후 한일 양국 관계의 추이>. <<역사학대회기요>>. 1976.
최재림. <정치 문화적 시각에서 본 일본의 근대화--명치유신 직후의 초기 근대화단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