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승자,『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 ―――― ,『즐거운 日記』, 문학과지성사, 1984.
· ―――― ,『기억의 집』, 문학과지성사, 1989.
· ―――― ,『내 무덤, 푸르고』, 문학과지성사, 1993.
· ―――― ,『연인들』, 문학동네, 1999.
· ―――― ,『쓸쓸해서 머나먼』, 문학과지성사, 2010.
· ―――― ,『물위에 씌어진』, 천년의시작, 2011.
· 김정란, 『한국현대여성시인』, 나남, 2001.
· 김치수, 「사랑의 방법」, 『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 지성사, 1981.
· 이광호, 「세기말의 비망록」, 『내 무덤, 푸르고』, 문학과지성사, 1993.
· 정과리, 「방법적 비극, 그리고-최승자 시 세계」,『즐거운 일기』, 문학과 지성사, 1984.
· 정영자, 『한국 여성시인 연구』, 평민사, 1996.
· 진형준, 「긍정에 감싸인 방법적 부정, 혹은 그 역」, 『기억의 집』, 문학과지성사, 1989.
· 김향라, 「한국 현대 페미니즘시 연구-고정희, 최승자,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박사학 위논문, 2010.
· 장은하, 「1980년대 페미니즘 시 연구-최승자, 고정희를 중심으로」, 건국대석사학위논문, 2001.
· 전수련, 「한국 여성시에 나타난 몸 이미지 분석-김정란, 김혜순, 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9.
· 진민경, 「최승자 시 연구」, 경원대석사학위논문, 2008.
· 김경수, 「여성시의 원천과 분만의 상상력」, 『작가세계』, 1990, 겨울.
· 박영우, 「최승자 시 연구-시의식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국어문학』45, 국어문학회, 2008.
· 박주영, 「실비아 플라스와 최승자 시에 나타난 여성분노의 미학적 승화」, 『Comparative Korean Studies』20권 1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 엄경희, 「여성시에 대한 기대지평의 전환」, 『이화어문논집』13, 1994.
· ―――― , 「메저키스트의 치욕과 환상-최승자論」, 조선일보신춘문예, 2000.
· 이광호, 「위반의 시학 그리고 신체적 사유」, 『현대시세계』, 1922, 봄.
· 이상희, 「사랑과 죽음의 전문가」, 『현대시세계』, 1991. 10.
· 이연승, 「한국 여성시의 환상성 연구」, 『한국어문교육』22.
· 장석주, 「죽음, 아버지, 자궁 그리고 시 쓰기」, 『문학과사회』25, 1994, 2.
· 정영자, 「최승자 시세계의 특성 고찰」, 『수련어문논집』18, 수련어문학회, 1991
· 정효구, 「최승자론-죽음과 상처의 시」, 『현대시학』, 199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