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부셰,「九雲夢 著作言語 辨證」,일지사(한국학보), 1992
· 강신관, 구운몽연구: 욕망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김구용, 『玉樓夢](1권)』, 1966
· 김기동, 『이조시대소설론,』 정연사, 1962
· 김동욱, 「<구운몽> 원본 탐색의 가능성 고찰」, 국어국문학회, 2011
· 김만중 원작 김병국 교주 역, 『구운몽』,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 김병국, 『현대역<구운몽>』,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김병국.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출판부. 1995
· 김선아, <구운몽>의 人物命名, 그 구조와 의미, 「어문논집」 v.1, 숙명여자대학교, 1991
· 김선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고전 <구운몽>」, 현암사, 2000
· 김숙희, 「구운몽의 혼담구조와 기능장애에 대한 연구」, 경남어문 23호, 1990
· 김윤옥, 「고전 서사문학의 ‘꿈’모티브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논문. 2005
· 金寅初 金長煥, <中國聞言短篇小說撰>, 學古方, 2004
· 김준경, 「<구운몽> 등장인물 연구: 명명원리와 행위양상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교주 박희병, 한길사, 1990)
· 김하나, 「<구운몽>에 나타난 욕망의 실현양상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다니엘 부셰, 「구운몽 저작언어 변증」, 일지사, 1992
· 린다 허천, 김상구 윤여복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3
· 문홍술, 최인훈의『구운몽』에 나타난 욕망의 특질과 그 의의,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국어교육, 2004
· 박은주, 「<구운몽>의 문학 교육 방법 연구」, 세명대학교육대학원, 2003
· 박지경, 「구운몽 연구: 사상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박지형, 「<枕中記>와 <南柯太守傳>의 비교를 통한 唐 傅奇의 몽환성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배경열, 최인훈의 『구운몽』에 나타난 자아의 정체성 혼란과 주체복원 욕망 고찰, 배달말학회, 배달말, 2009
· 배영희, 「구운몽에 내포된 역학 사상 탐구」, 민속원, 2004
· 서인석, 「<구운몽>후기 이본의 문체변이와 그 의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3
· 설성경, 『구운몽의 통시적 연구』, 새문사, 2007
· 설성경, 심치열, 『옥루몽의 작품 세계』, 1994
· 설성경, 「구운몽 연구」, 국학자료원, 1999
· 성현경, 「옥련몽 연구, 국문학연구 9집」, 1969,
· 신재홍,「<구운몽>의 서술원리와 이념성」,『고전문학연구』,제 5집(고전문학연구회), 1990
· 羊硏石, 「夢遊錄 小說의 書述遺形 硏究」, 國學資料元, 1996
· 윤보경, 「唐代<枕中記>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경은, 「中國唐代의 夢幻小說 <枕中記>와 <南柯太守傳>의 硏究」,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이경은, 「中國唐代의 夢幻小說 <枕中記>와 <南柯太守傳>의 硏究」,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이영림, 「김만중의 <구운몽>과 헤르만 헤세의 <나르시스와 골드문트> 주인공들의 자기실현과정 비교연구 융의 분석심리학을 토대로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이주영, 「구운몽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어국문학회, 2003
· 이주영, 『구운몽』에 나타난 욕망의 문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02
· 이창헌, 「방각소설 출판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한국고전문학회, 2009
· 임철호, 「調信說話 硏究」, 『연세어문학』7~8집, 1976
· 정규복, 「구운몽 노존본의 이분화」,동방학지,1988
· 정규복, 「구운몽 서울대본의 재고」,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1991
· 정규복, 진경환, 「구운몽(완판 105장본)」, 1993
· 정길수, 「<구운몽> 원전 재론」, 한국고소설학회, 2009
· 정길수, 「<구운몽> 定本 구성의 방법과 실제」,한국고소설학회, 2011
· 정길수, 「구운몽 原典의 탐색」, 한국고소설학회, 2007
· 정미숙,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관계양상」,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정상진, 「<구운몽>교육의 전제와 내용」, 『설화 고서설 교육론』, 민속원, 2002
· 정상진, 「<구운몽>,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외대논총 vol.19 no.5, 1999
· 조용호, 「홍길동전」과 「구운몽」의 대비연구 욕망의 실현방식을 중심으로, 서강어문어학회, 서강어문, 1994
· 최용철, 「홍루몽 가없는 사랑의 세계[ 紅樓夢 ]」, 2006
· 최운식, 『한국고소설연구』, 보고사, 2004
· 최인훈, 『광장, 구운몽』, 최인훈전집 1권, 문학과지성사, 1976
· 최종운 외, 『대구어문론총』, 「「구운몽」과「옥루몽」의 대비 고찰」, 대구어문학회, 1997
· 韓國古小說學會, 『한국고소설론』,아세아문화사, 2010
· 한승원, 「꿈」, 문이당, 1999
· 허룡구, 정재서, 『홍루몽7, 해설 및 연구자료집』, 1991
· 홍인표, 「서포만필」, 일지사, 1987
· 홍재봉, 고전소설 구운몽 주제 재론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