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사회과학원민족고전연구소, 『이조실록』, 여강출판사, 1993.
·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동방미디어, 1999(디지털 자료)
· 편수출판실,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닷컴, 2004.
· 이상각, 『조선왕조실록(영광과 좌절의 오백년)』, 들녘, 2009.
· 노희찬, 『조선왕조실록(노희찬과 함께 읽는)』, 일빛, 2004.
· 권기경, 『조선왕조실록』, 한솔수북, 2010.
· 박영규, 『만화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1~5』, 들녘, 2003.
· 김택영, 『조선왕조실록』, 타임기획, 2005.
· 윤용철, 『조선왕조실록 졸기』, 다울, 2007.
· 편집부, 『삼국유사.삼국사기.조선왕조실록(전 20권)』, 태동출판사, 2009.
· 상종열, 『도해 조선왕조실록』, 이다미디어, 2002.
· 김용삼, 『재미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월간조선사, 2004.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조선왕조실록 인명색인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 이재황, 『조선왕조실록 여행 1』, 청간미디어, 2002.
· 심백강, 『조선왕조실록중의 백두산관계자료』, 민족문화연구원, 2001.
· 김용삼, 『조선왕조실록』, 동방미디어, 1997.
· 한일관계사학회, 『조선왕조실록 속의 한국과 일본』, 경인문화사, 2004.
· 한국고문헌연구회, 『조선왕조실록인물사료 상.하』, 한국문화사, 1994.
· 심백강, 『조선왕조실록중의 기자사료』, 민족문화연구원, 2002.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조선왕조실록 인명색인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편수출판실,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1(서화편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 이성미,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2(서화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 편수출판실,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3(서화편 3)』, 한국정신물화연구원, 2002.
· 심백강, 『조선왕조실록중의 단군사료』, 민족문화연구원, 2001.
· 이성미,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4(건축편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 이성미,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5(건축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 편수출판실,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6(건축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 편수출판실, 『조선왕조실록 미술기사자료집 7(건축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 이재황, 『태조 정종본기(재편집 조선왕조실록 1)』, 청산미디어, 2001.
·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탐구당, 1986.
· 편집부, 『조선왕조실록분류집』, 국사편찬위원회, 1993.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선왕조실록 인명색인 [1] - 태조~성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7.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조선왕조실록주석색인(태조-철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7.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선왕조실록 음악기사자료집』, 민속원, 1998.
· 전라문화연구소, 『조선왕조실록과 적상산사고』, 전북대학교전라문화연구소, 2008.
· 신계우, 「조선왕조실록 해제」, 『조선왕조실록』, 1991, pp. 10-18.
· 이남희, 「전산화를 통해서 본 조선왕조실록」, 『서지학연구』, 1997, pp. 73-100.
· 신병주, 「조선왕조실록의 봉안의식과 관리」, 『한국사연구』, 2001, pp. 75-105.
· 손태룡, 「조선왕조실록의 주례 고찰」, 『음악과 민족』, 2002, pp. 233-252.
· 백 린, 「태백산사고 소장본에 대하여」, 『도서관보』 8-1, 1971.
· 김경수, 「인조실록의 편찬과정과 편찬관」, 『충북사학』 10, 1998.
· 김구진, 「국역 조선왕조실록에 대하여」, 『조선왕조실록과 고전국역사업』, 1994.
· 김근수, 「조선왕조실록 해제」,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1977.
· 김태성, 「광해군일기의 편찬에 관한 간단한 고찰」, 『력사과학』 2, 1992.
· 김형규, 「규장각도서와 이조실록」, 『춘주』 2-2, 1941.
· 배현숙, 「조선실록 연구서설」, 『태일사』, 2002.
· 신석호, 「조선왕조실록의 편찬과 보관」, 『사총』 5, 1960.
· 이성무, 「조선왕조실록과 한국학연구」, 『조선왕조실록과 고전국역사업』, 1994.
·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동방미디어』, 1999.
· 이태진, 「조선왕조실록」, 『한국사시민강좌』 23, 1998.
· 임승표, 「광해군일기의 편찬경위와 국역과정」, 『민족문화』 18, 1995.
· 정양완, 「국역리조실록에 대하여」, 『조선왕조실록과 고전국역사업』, 1994.
· 차용걸, 「조선왕조실록의 편찬태도와 사관의 역사의식」, 『한국사론』 6, 1979.
· 차장섭, 「조선전기 실록의 사론」, 『국사관논총』 32, 1992.
· 한우근, 「조선전기 사관과 실록편찬에 관한 연구」, 『전단학보』 66, 1988.
· http://sillok.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 http://e-kyujanggak.snu.ac.kr/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www.koreaa2z.com/
· 『국역 조선왕조실록』 1-4, 조선왕조실록 CD-ROM간행위원회.
· (1. 태조-성종, 2. 연산군-현종, 3. 숙종-철종, 4. 왕대별 해제, 운영시스템, 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