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기업선정동기 (현대자동차, 폭스바겐의 마케팅 전략)
최근 선진국 자동차시장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자동차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많은 외국 자동차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는데 중국 자동차시장의 브랜드 점유율 1,2위는 폭스바겐과 GM이다. 이러한 경쟁기업들이 점유율이 높은 이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기업인 현대는 중국에서 이들을 이기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1위 기업으로써의 도약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이 기업을 선정하게 되었다.
<중 략>
선진외국 업체보다 후발주자로 진출한 현대자동차로서는 인건비가 싼 중국에서도 먼 미래를 보고 고장자동차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매진하였으며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비한 혼류생산시스템을 도입하여 소나타, NF소나타, 엘란트라, 투싼 등을 한꺼번에 생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듈조립형 생산방식과 아웃소싱을 통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하고 공정의 단순화로 작업의 효율성을 기한다. 북경현대가 생산 시판한 소나타와 엘란트라 모델은 한국에서 성공한 모델로서 중국현실에 맞게 약간 개선하여 판매하였다. 현대자동차가 과감히 최신모델인 소나타를 들여오면서 적당한 기술로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업체들에게는 큰 충격이었다. 소나
타 가격을 살펴보면 소나타2.0GC(M/T)(1975cc)는 17.9만 위엔, 소나타 2.7GLSA/T(2656cc) 26.5만 위엔 으로 중국 중산층의 최적정 구매가격인 15만 위엔 보다 높게 책정되어있다. 이는 중국의 가장 대중적인 차량보다 약간 높게 책정되어있다. 그러나 동펑자동차 믈루버드2.0L이 21.68만 위엔, 상하이VW파사트1.8L가 22.2만위엔, 상하이GM리갈2.0L가 22.38만 위엔으로 외국합작업체의 동일 등급의 차량보다는 낮게 책정되었다. 즉 품질은 우수하고 최신모델을 제고한 반면 가격은 중국동급차종보다 높은 반면 외국메이커에 비해서는 낮게 책정되어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밸류포머니(value for money:가격이 적당한자) 호평을 받고 있다.
· 강대복, 한국자동차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2012.
· 곽장욱, 박세원, 강병지, 중국의 출구전략 가능성에대한 고찰,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2010.
· 김수원, 국내 자동차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9.
· 김영진, 한국 자동차부품 업체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과 발전전략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논문, 2008.
· 김현철, 중국자동차시장 연구, 선인도서출판사, 2008.
· 모세준, 동애영, 중국 자동차산업 및 중국진출 국내업체 성장성 분석, 하나금융연구소, 2009, 제18호.
· 박성철, 한국자동차의 중국시장 진출레 관한연구,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2011.
· 복득규, 자동차 산업, 삼성 경제 연구소, 2001.
· 서용호, 중국경제도약이 한국에 시사점과 대응방안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2008.
· 이문형, 21세기 중국 승용차산업 발전전략과 한중 협력증진 방안, 산업연구원
· 정책 자료, 2000.
· 양 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석사논문, 2012.
· 양평섭, kama 저널, 한국자동차 공업협회, 2012.
· 이장로 외 중국 마케팅 사례, 무역경영사, 2007.
· 이종희, 중국자동차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항구 외, 자동차산업의 장기비전과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2004.
· 이현주, 중국세계최대자동차시장, 자동차경제(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월보), 2010.
· 임혜경, 황정애, 2020년 자동차산업의 미래,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2009.
· 장박원, 현대자동차 왜 강한가 , 국화도서관, 2005.
· 정승환, 國內自動車産業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向後戰略에 관한 硏究, 2008.
· 최영진, "상하이 자동차산업: 산업집적지에서 혁신러스터로 전환-상하이국제기차성의 사례연구" , 국제지역학회지, 2007.
· 표한규, 브랜드이미지가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논문, 2009.
· 한병섭, 해외투자에서 대상국의 직접효과 및 해외지사의 생존, 한국산업경영협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