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현대 경영의 현황
19세기 초 산업 혁명이 시작되었던 시기부터 현대에 오기까지 기업 경영에 대한 패러다임은 계속해서 변화해 왔다. ‘더 빨리, 더 많이’ 높은 생산성을 추구했던 시대에서부터 지속 가능 경영, 인재 경영, 사회적 경영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패러다임이 존재해왔다.
현대의 패러다임은 ‘혁신’이다. 이제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것을 넘어 소비자의 욕구를 ‘만들어’내려고 노력한다. 소비자 자신조차 발견하지 못한 욕구를 상품/서비스로 만들어내어 거꾸로 소비자들의 Needs를 이끌어 내려는 것이다.
소비자들의 Needs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기존의 상식을 깨부수고 새로운 발상을 해내는 ‘창의성’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실천으로 옮기는 ‘혁신’이 필요하다. 단순히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이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바를 정확히 읽어내는 혁신을 해야 성공할 수 있다. 즉 창의력,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기술력에 더불어 시장을 읽는 통찰력이 결합되어야 성공적인 혁신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나 변화가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사회에서는 소비자들의 Needs 또한 빠르게 변해 기업들은 그에 맞추는 것을 넘어서 한발 앞서 Needs를 파악하고 이끌어내야하는 환경에 처하게 되었다. 현대 경영에서는 이 둘을 한 대 묶은 ‘창조적 혁신’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미국의 IT 기업 구글(Google)은 ‘창조적 혁신’이라는 면에서 현재 가히 선두를 달리는 기업이라 할 수 있다. 우수한 품질의 검색 엔진에서부터 무료로 제공되는 고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들, 심지어 기업 공개를 할 때에도 다른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Dutch Auction'방식을 실시하며 세계를 놀래켰다. 현대 경영에서의 ‘창조적 혁신’의 중요성과 이를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기업 구글이 이 창조적 혁신을 불러오기 위해 어떤 경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선정 이유
구글은 미국에서 이미 수년간 ‘MBA 학생들이 다니고 싶어 하는 기업’,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지 선정 일하기 좋은 기업’ 등의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포춘지로부터 ‘미국 최고의 직장’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가장 인기 있는 기업에는 자연스럽게 가장 능력 있는 인력이 모이기 마련이고, 그 결과 구글은 전 직원을 핵심 인재로 채울 수 있었다.
· 켄 올레타, 이길호,「구글드」, 타임비즈, 2010
· 버지니아 스콧, 정인아 옮김,「구글」, 명인문화사, 2011
· 뤼야오종, 오수현 옮김,「구글 성공의 7가지 법칙」, 이코노미북스, 2007
· 구와바라 데루야, 김정환, 「구글을 움직이는 10가지 황금률」, 윌컴퍼니, 2011
· 리처드 L. 브랜트, 안지환 유근미 옮김,「구글 웨이」,북섬, 2010
· 장유엔챵, 하진이 옮김,「부와 성공의 비밀, 구글에서 훔쳐라」, 머니플러스, 2007
· 마키노 다케후미, 장정일 옮김,「마이크로소프트도 애플도 아닌 왜 구글인가」, 한빛비즈, 2010
· 재닛 로우, 배현 옮김,「구글 파워」, 애플트리테일스, 2010
· 박상범 외 3인,「현대경영학원론」, 탑북스, 2010,
· 경총 경제조사 본부, 「성과관리체계의 주요 변화 동향」, 경총 경영계 11월호, 2012
· 최윤정, 「애플과 구글의 비지니스 모델 차이점 분석」,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 공영일, 「구글의 전략 방향 분석과 시사점」, 방송통신정책 제23권 20호 통권519호, 방송통신정책연구원, 2011
· N.A. 2012. Annual Report on the World’s Most Valuable Global Brands March 2012. Brand Finance. 10p
· 팔글, 구글의 이해되지 않는 인재와 프로젝트 관리, 개인 블로그, 2007,
· http://www.palgle.com/2007/06/24/google-inner-system-1/
· 김용준 기자, 구글 사전에 없는 단어…'직급ㆍ눈치ㆍ간섭', 한국경제, 2010,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42749051
· 권경욱 기자, 구글 크롬 브라우저, 3월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 형성, 보드나라, 2013,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D=7&cate=10&d_category=8&num=97351
· 유별류 기자, 구글 입사시험 "1~10000 사이 8은 몇 개?", 머니투데이, 2012,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62015013933019&outlink=1
· 장래혁 기자, 동양 명상을 도입하는 글로벌 기업들, 2013, http://www.brainmedia.co.kr/brainWorldMedia/ContentView.aspx?contIdx=11076
· 최보윤 기자, "구글 瞑想(명상)강의 듣고 부서 성과 100% 올랐다더라", 2013, 비즈 조선,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27/2013032702569.html
· 조진서 기자, “직원이 어린애인가 내버려두면 성과 낸다”, 2012, 신동아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12/08/21/201208210500001/201208210500001_1.html
· 조유진 기자, '구글 변덕이 SK플래닛에게는기회'. 2013, 아시아 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22511174336454
· Miguel Helft.The Future According to Google's Larry Page. 2013. CNNMoney:Fortune, http://tech.fortune.cnn.com/2013/01/03/google-larry-page/
· Steve Yegge. Steve Yegge's Google Platforms Rant.11 Oct. 2011. http://xahlee.info/w/steve_yegge_google_platforms_rant.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224864&mobile&categoryId=200000782
· 구글 한국어 홈페이지 http://www.google.co.kr/intl/ko/about/
· 2013 Financial Tables. Google Investor Relations. 2013.
· http://investor.google.com/financial/tables.html
· 위키피디아http://ko.wikipedia.org/wiki/%EA%B5%AC%EA%B8%80%EC%9D%98_%EC%A0%9C%ED%92%88_%EB%AA%A9%EB%A1%9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