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효현,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 <한국가> 31, 국사편찬위원회 p.438
· ◎ 김흥규, 신재효 개작 춘향가의 판소리사적 위치, 『한국학보』10, 일지사, 1978.
· ◎ 설성경, 『춘향전-국문학 총서 7』, 시인사, 1986.
· ◎ 전경욱, 『춘향전의 사설 형성원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90
· ◎ 김동욱, 김태준, 설성경, 『춘향전 비교연구』, 삼영사, 1979.
· ◎ 박희병, 춘향전의 역사적 성격 분석, 『전환기의 동아시아문학』, 창작과 비평사, 1985.
· ◎ 윤용식, 춘향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 ◎ 신동혼, 평민 독자의 입장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 『판소리연구』, 7, 판소리학회, 1995
· ◎ 이상택, 춘향전 연구사 반성, 『한국학보』, 5호, 일지사, 1976.
· ◎ 김병국/김대행/김진영/정병헌편,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광학술자료, 1994
· ◎ 유영대, 『심청전 연구』문학 아카데미, 1989, p.180
· ◎ 김일열,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과정과 일반적 성격』,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 ◎ 김종철,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 ◎ 동국대 고전산문 연구모임, 『우리 고전 우리 판소리』, 도서출판 한샘, 1994
· ◎ 전경욱, 『춘향전의 가설 형성원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1990
· ◎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 ◎ 설성경, 「춘향전의 서사구조」, 『고전 소설의 이해』, 문학과 비평사, 1991
· ◎ 한국고소설연구회 편,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 문화사, 1991
· ◎ 혜문서관 편집부, 『우리 고전소설 한마당』, 혜문서관, 1994
· ◎ 설중환, ‘춘향전’ 재고, 『국어국문학』82, 국어국문학회, 1980
· ◎ 조동일, 갈등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 『계명논총』6. 계명대. 1969.
· ◎ 성현경, 남원고사본 춘향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소설연구의 방향』, 새문사, 1985
· ◎ 정하영, 춘향의 항거와 그 의미, 『국어국문학』93, 국어국문학회, 1985
· ◎ 윤세평, 춘향전에 대한 분석과 연구, 『판소리 연구』3, 판소리학회, 1992
· ◎ 성현경, 이고본 춘향전 연구, 『판소리 연구』3, 판소리학회, 1992
· ◎ 성현경, <심청가>의 형성과 변모 과정, 『고전문학연구』9
· ◎ 김동욱, 『춘향전 연구』, 연세대 출판부,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