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제두, 『국역 하곡집 I』,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5.
· 정제두, 『국역 하곡집 Ⅱ』,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5.
· 예문동양사상연구원, 『한국의 사상가 10人 하곡 정제두』, 예문서원, 2002.
· 박연수, 『하곡 정제두의 사상』, 한국학술정보, 2007.
· 이해영, 「霞谷 鄭齊斗 哲學의 陽明學的 展開」, 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제6집, 1985.
· 주칠성, 「朝鮮朝 陽明學과 鄭齋斗」, 한국유교학회, 유교사상연구, 제4·5집, 1992.
· 민혜진, 「霞谷 鄭齊斗 思想의 背景과 性格에 관한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1992.
· 주칠성, 「朝鮮陽明學派와 그 代表 鄭齊斗에 關하여」,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유학연구』, 제 3집, 1995.
· 정두영, 「18세기 '君民一體'思想의 構造와 性格 : 霞谷 鄭齊斗의 經學과 政治運營論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학회, 『朝鮮時代史學報』, 제5집, 1998.
· 정재훈, 「霞谷 鄭濟斗의 陽明學受容과 經世思想」, 서울대학교, 『韓國史論』, 1998.
·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하곡 정제두」, 한국양명학회, 『양명학』, 제6호, 2001.
· 김준석, 「朝鮮後期의 蕩平政治와 陽明學政治思想 -鄭齊斗의 陽明學과 蕩平政治論-」, 연세대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제116집, 2002.
· 우쩐, 최복희, 「정제두 사상 서론」, 한국양명학회,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04.
· 이상훈, 「霞谷 鄭齊斗 思想 속의 陽明學적 思惟와 特性- 心性說과 心理說을 中心으로-」,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동양학』, 제35집, 2004.
· 한형조, 「왜, 조선에, 양명학인가?」, 한국양명학회,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5.
· 정두영, 이상호, 「숙종~영조 초 하곡 정제두의 처세와 정치적 역할」, 한국양명학회,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06.
· 이준암, 「霞谷 鄭齊斗의 陽明學 受容과 社會改革論」,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정태섭, 「霞谷 鄭齊斗의 경세론」,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中央史論』, 제28집, 2008.
· 선병삼, 「하곡 정제두의 『대학』관에 나타난 한국적 양명학의 탄생 고찰」, 한국한문고전학회, 『한문고전연구』, 제22집,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