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감염성 치매의 소개 및 알츠하이머병과의 비교

"감염성 치매의 소개 및 알츠하이머병과의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11.06 최종저작일 2013.09
20P 미리보기
감염성 치매의 소개 및 알츠하이머병과의 비교
  • 미리보기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프리온 감염으로 인한 치매
    1. 프리온 감염 치매의 개념
    2. 프리온 감염 치매의 주요 증상
    3. 프리온 감염 치매의 원인
    4. 프리온 감염 치매의 치료(이강준, 2008, pp.22-23)

    Ⅲ. HIV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치매
    1. HIV 관련 치매(HIV-associated dementia, HAD)의 개념
    2. HIV 관련 치매의 주요 증상
    3. HIV 관련 치매의 원인
    4. HIV 관련 치매의 치료

    Ⅳ. 감염성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의 비교

    Ⅴ. 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 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감퇴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일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가장 대표적인 신경정신계 질환으로 점차 진행되면서 기본적인 일상생활 능력 및 운동 장애까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노인성 치매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문제는 환자 자신은 물론 가정과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치매는 하나의 질병이라기보다 뇌손상의 결과로 인해 초래되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증상들을 통칭하는 증후군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치매는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뇌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주로 손상이 일어난 부위에 따라 피질 치매, 피질하 치매, 혼합 치매 등으로 나뉘게 된다(Banich, 2010, p.633). 뇌세포 손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다양하며 개별 질병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주된 손상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범주로 묶인다고 할지라도 각 치매환자가 나타내는 양상은 다를 수 있다.
    치매를 증후군으로 이해하게 되면 뇌손상을 야기하여 결국 치매를 초래하게 되는 ‘치매 원인 질환’의 개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약 70-80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그 중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 가장 흔히 발생되는 것으로 전체 치매질환의 약 50%를 차지한다. 또한 20%는 혈관성 치매이며 15%는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한다(오병훈, 2002, p.21). 한국에서는 알코올성 치매 및 두부 외상 후에 오는 치매도 문제시 되고 있으나,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가 치매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참고자료

    · 강영배, 김용주, 조동희, 배상호. (2006). 소 해면형 뇌증 ? 해외발생 역학정보 및 위험도 분석. 대한수의사회지, 32(4), 220-233.
    · 권중돈. (2002). 치매와 가족. 학지사.
    · 김기흥. (2009). 광우병 논쟁. 해나무.
    · 김명희. (2008년 8월 7일). 에이즈 환자의 평균수명 상승. 월드얀뉴스. 2012년 5월 28일 검색, http://www.worldya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5.
    · 김효열, 김준명. 새로운 항바이러스제.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17(4), 343-356.
    · 대한치매학회. (2006). 치매 : 임상적 접근. 아카데미아.
    · 서울대학교병원. (n.d.), 노인성 치매. 2012년 6월 1일 검색,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diseaseSymptomCode=AA000595&diseaseSymptomTypeCode=AA&selectedTab=detail#con
    · 서울대학교병원. (n.d.), 알츠하이머병. 2012년 6월 1일 검색,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diseaseSymptomCode=AA000115&diseaseSymptomTypeCode=AA&selectedTab=detail#con
    · 안석균, 민성길, 김준명. (1996). HIV - 관련 치매 1례. 대한민국정신의학회, 35(2), 482-488.
    · 연합뉴스. (2008년 4월 16일). 초로기 치매 대부분 치매 아니다. 헬스조선. 2012년 6월 1일 검색,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4/16/2008041600740.html
    · 오병훈. (2002). 치매 : 치매 이해와 치료의 바른 길잡이. 무지개사.
    · 유수민. (2008). 과학이 광우병을 말하다. 지안.
    · 이강준. (2008). 치매 치료의 최신 지견 : 약물학적 치료를 중심으로. 한국노인정신의학회, 12(17), 17-27.
    · 이병욱. (2005). 에이즈와 치매. 레드리본, 66, 32-33.
    · Adriano Aguzzi1, & Mathias Heikenwalder. (2006). Pathogenesis of prion diseases: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Nature Reviews Microbiology 4, 765-775.
    · Alzheimer’s Association. (2008). 알츠하이머란 어떤 병인가? 2012년 6월 1일 검색, http://www.alz.org/national/documents/k_chapter1.pdf
    · Alzheimer’s Association. (2008).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2012년 6월 1일 검색, www.alz.org/national/documents/k_chapter6.pdf
    · Banich. (김명선, 강은주, 강연욱 역). (2010).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Bhagavathi Perumal, M., & Dhanasekaran, S. (2012). HIV associated dementia: Role for neurosteroids. Medical hypotheses, 78(5), 672-674.
    · Bloom F.E., & Rausch D.M. (1997). HIV in the brain : pathology and neurobehavior consequences. journal of Neuro Virology, 3, 102-109.
    · Brandon C. Dennis, Sidney A. Houff, Dong Y. Han, Fredruck A. Schmitt. (2011). Development of neurocognitive disorders in HIV/AIDS. Neurobehavioral HIV Medicine, 3, 9-18.
    · Cronier, Laude, & Peyrin. (2004). Prions can infect primary cultured neurons and astrocytes and promote neuronal cell death.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33), 12271-12276.
    · Day J.J., Grant I., Atkinson J. H., Brysk L.T., McCutchan J. A., Hesselink J. R. (1992). Incidence of dementia in a two year follow-up of AIDS and ARC patients on an initial PhaseⅡ AZT placebo-controlled study : San Diego Cohert. Journal of Neuropsychiatry, 4, 15-20.
    · F. Starace, M. Dujkgraaf, H. Houweling, M. Postma, A. Tramarin. (1998). HIV-associated Dementia : Clinical, Epidemiological, and resource utilisation issues. AIDS Care, 10, 99-110.
    · Giovanni Schifitto, Bradford A. Naviab, Constantin T Yiannoutsosc et al. (2007). Memantine and HIV-associated cognitive impairment : a neuropsychological and 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study. AIDS, 21, 1877-1886.
    · Heaton RK, Grant I, Butters N, White DA, Kirson D, Atkinson JH, McCutchan JA, Taylor MJ, KElly MD, Ellis RJ, Wolfson T, Velin R, Marcotte TD, Hesselink JR, Jernigan TL, Chandler J, Wallace M, Abramson I, HNRC Gruop (1995b). The HNRC 500 ? Neuropsuchology of HIV infection at different disease stages, Int Neuropsychol Soc, 1, 231-251.
    · Justin C. McArthur. (2004). HIVdementia: an evolving disease. Journal of Neuroimmunology, 157(2), 3?10.
    · Kelleher. (김상윤 역). (2007). 얼굴없는 공포, 광우병 그리고 숨겨진 치매. 고려원북스.
    · McArthur JC, Haughey N, Gartner S, Conant K, Pardo C, Nath A, Sacktor N. (200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associated dementia: An evolving disease. J Neurovirol, 9, 205-221.
    · Michael D. Boska, R. Lee Mosley, Mehmood Nawab, Jay A. Nelson, Marina Zelivyanskaya, Larisa Poluektova, Mariano Ubertia, Huanyu Dou, Travis B. Lewis, Howard E. Gendelman. (2004). Advances in Neuroimaging for HIV-1 Associated Neurological Dysfunction: Clues to the Diagnosis,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Monitoring, Current HIV research, 2(1), 61-78.
    · Oldstone, Michael B. A., & L. Vitkovic (ed). (1995). HIV and dementia : proceedings of the NIMH-Sponsored Conference “Pathogenesis of HIV Infection of the Brain : Impact on Function and Behavior”. Springer-Verlag.
    · Prusiner S.B. (1982). Novel proteinaceous infectious particles cause scrapie. Science, 216(4542), 136-144.
    · Ryan L, Zheng J, Brester M, Bohac D, Hahn F, Anderson J, Ratanasuwan W, Gendelman HE, Swindells S. (2001). Plasma Levels of Soluble CD14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ype II Receptor Correlate with Cognitive Dysfunction duri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fection. J. Infect.Dis., 184, 699-706.
    · Sanchez-Juan P., Cousens SN., Will RG., & van Duijn CM. (2007). Source of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outside United Kingdom. Emerg Infect Dis, 13(8) 1166-1169.
    · Steven Karceski. (2010). HIV/AIDS and neurologic disease, Neurology, 75, 56.
    · William. (2007). Section 4: Viral Infections, Rickettsial Infections, and Prion Diseases. NEUROPATHOLOGY MINI-COURSE FOR RESIDENTS : CHAPTER 5 PATHOLOGY OF CNS INFECTIONS. Retrieved May 31, 2012, from http://www.google.co.kr/imgres?q=beta+amyloid+CJD&hl=ko&newwindow=1&biw=1920&bih=956&tbm=isch&tbnid=whrLCHi2qp7aOM:&imgrefurl=http://www.pathology.vcu.edu/education/WirSelfInst/INF%2520PT4.html&docid=u8CLyZu_JySNkM&imgurl=http://www.pathology.vcu.edu/education/WirSelfInst/CJD%25255ENV.jpg&w=516&h=351&ei=f_nLT_yuG6fZigekq6Fp&zoom=1.pdf
    · Woods S. P., Moore D. J., Weber E., & Grant I. (2009). Cognitive neuropsychology of HIV-associated neurocognitive disorders. Neuropsychology Review, 19, 152-168.
    · Wu W., Cullen K., Stankovic R., Bao S., Bell J., Brew B., & Guillemin, G. (2011). Quinolinic acid in HIV-1-associated dementia with pathogenetic processes distinct from Alzheimer disease. ALZHEIMERS AND DEMENTIA, 7(4), 71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