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식, 삼국사기.
· 일 연, 삼국유사.
· 김매순, 열양세시기
· 유득공, 경도잡지.
· 홍석모, 동국세시기.
· 최남선, 조선상식 풍속편, 서울 : 동명사, 1948.
· 강무학, 한국세시풍속기, 서울 : 집문당, 1987.
· 경희대 민속학연구소, 서산민속지 상, 서산 : 서산문화원, 1987.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편, 한국민속대관 4 세시풍속·전승놀이편, 서울 :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82.
· 김명자, "송파의 세시풍속," 한국민속학 15, 서울 : 민속학회, 1982.
· 김명자, "근대화에 따른 세시풍속의 변천," 한국의 민속3, 서울 : 경희대 민속학연구소, 1986.
· 김명자, "송천동의 가신신앙," 안동문화 9집, 안동 : 안동대 부설 안동문화연구소, 1988.
· 김명자, "세시풍속의 기능과 그 변화," 민속연구 2, 안동: 안동대부설 민속학연구소, 1992.
· 김명자, "세시풍속을 통해 본 윤달의 의미," 고문화 49집, 청주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6.
· 김명자, "세시풍속의 순환체계," 김태곤 외, 한국문화의 원본사고, 서울 : 민속원, 1997.
·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서울 : 집문당, 1983.
· 김태곤·김명자·상기숙 외, 한국의 산촌민속Ⅰ- 치악산편, 서울 : 교문사, 1995.
· 김태곤·김명자·상기숙 외, 한국의 산촌민속Ⅱ-노적산편-, 서울 : 교문사, 1995.
·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대구 : 영남대 출판부, 1985.
· 문화재관리국 편,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각도편, 대구 : 형설출판사, 1977.
· 박계홍, 증보 한국민속학개론, 대구 : 형설출판사, 1997, 증보 7쇄.
·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서울 : 연세대 출판부, 1975.
· 이두현, 한국민속학논고, 서울 : 학연사, 1984.
· 이은봉, 놀이와 축제, 서울 : 주류, 1982.
· 이은성,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 정음사, 1985.
· 이은성, 한국의 책력(하), 서울 : 전파과학사, 1978.
·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 서울 : 집문당, 1985.
· 장주근, 한국의 세시풍속, 대구 : 형설출판사, 1984.
· 장주근, 한국민속논고, 서울 : 계몽사, 1986.
· 정상진, 우리 민속과 전통문화, 부산 : 부산외국어대 출판부, 1996, 재판.
· 조효순,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서울 : 일지사, 1988.
· 진성기, 남국의 민속-제주도 세시풍속-, 서울 : 교학사, 1977.
· 최상수,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 홍인문화사, 1969, 재판.
· 종름, 상기숙 역, 형초세시기, 서울 : 집문당,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