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욱,「현대소설에서 나타난 서민상」,《현대문학》, 1974. 10
· 이보영,「농민소설을 넘어서」,《월간문학》, 1974. 11
· 천이두,「집념과 좌절 - 조정래 소설집 '황토'」,《창작과 비평》, 1974. 겨울
· 김병욱,「역사적 사실의 소설화」,《월간문학》, 1975. 2
· 권영민,「최근 소설에 나타난 몇 가지 징후」,《소설문학》, 1982. 5
· 이보영,「오늘의 소설, 그 주제에 대하여」, 《월간문학》, 1982. 6
· 정현기,「탐색하는 작가와 진단하는 작가」,《소설문학》, 1982. 10
· 황헌식,「조정래 소설집 '유형의 땅'」,《한국문학》, 1982. 11
· 이남호,「6·25 체험의 지속성과 오래된 사진첩」,《세계의 문학》, 1982. 겨울
· 천이두,「비극의 다층적 점검」,《소설문학》, 1983. 1
· 김승옥,「한의 실타래에서 엮어낸 서사시」,《소설문학》, 1983. 5
· 조남현,「6·25문학의 새 지평」,《현대문학》, 1983. 6
· 천이두,「분단시대의 비극과 한국소설」,《현대문학》, 1983. 10
· 김윤식,「한국문학과 이산·분단의 체험」,『이산·분단문학 대표소설선』, 동아일보사, 1983
· 조남현,「사실의 재구성」,『조남현 평론집』, 이우출판사, 1984
· 김윤식,「6·25와 우리 소설의 내적 형식」,《한국문학》, 1985. 6
· 전영태,「6·25와 한국소설의 재발견」,《한국문학》, 1985. 6
· 김선학,「한국전쟁의 거시적 파악」,《한국문학》, 1985. 6
· 천이두,「집념의 문학」,『한국문학과 한』, 이우출판사, 1985
· 유한근,「제3 휴머니즘과 문학적 모반」,《한국문학》, 1985. 8
· 조남현,「해한과 결한의 순환」,『지성의 통풍을 위한 문학』, 평민사, 1985
· 이동하,「분단상황의 탐구와 한의 극복」,『우리시대 우리작가 16』, 동아출판사, 1986
· 이동하,「한국분단소설의 새로운 전진」,《현대문학》, 1986. 10
· 전영태,「이념적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한국문학》, 1986. 10
· 조남현,「이데올로기의 전경과 후경」,《문학정신》, 1986. 11
· 김종회,「분단시대의 삶과 화해의 지평」,《경희어문학》7, 1986
· 김윤식,「우리 문학의 분단 비극의 극복의식」,《문학사상》, 1986. 8
· 최원식,「'태백산맥' 역사적 진실성에 아쉬움」,《한국일보》, 1987. 7. 3
· 조정래,「자료 맹신주의는 벗어나야」,《한국일보》, 1987. 7. 4
· 최원식,「비평은 작품에 생명력 부여」,《한국일보》, 1987. 7. 8
· 조정래,「'큰 시각'으로 본 비평이라야」,《한국일보》, 1987. 7. 11
· 전영태,「문학적 진실의 심화와 확대」,《한국문학》, 1988. 2
· 임우기,「80년대 분단소설의 새로운 전개」,《문학과 사회》, 1988. 봄
· 한승옥,「민중, 그 가변적 속성의 본질과 실체」,《외국문학》, 1988. 5
· 임헌영,「변혁운동과 불교사상」,《불교문학》, 1988. 가을
· 박종길,「'태백산맥'에 나타난 작가의식」,《부산교대국어과교육》, 1989
· 김창수,「80년대 우리 문학을 완결한다」,《문학사상》, 1989. 8
· 권영민,「조정래 '태백산맥' 완결을 보고」,《동아일보》, 1989.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