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麗史』,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역주, 『국역 高麗史』, 경인문화사, 2008.
· 변태섭, 『高麗史의 硏究』, 삼영사, 1982.
· 이기백, 『한국사학의 방향』, 일조각, 1997.
·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편,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창작과 비평사』, 1996.
· 한국사연구회 편, 『한국사학사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6.
· 김광철,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재의 재구성」, 『한국중세사연구』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판본의 특징」, 『석당논총』5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 김당택, 「『高麗史』 列傳의 編纂을 통해 본 朝鮮의 建國」, 『한국중세사연구』23, 한국중세사학회, 2007.
· 김항구, 「세종대의 수사사업(修史事業)」, 『사학지』16, 단국사학회, 1982.
· 박윤진, 「『高麗史』 叛逆傳 立傳 기준과 고려말 조선초 ‘附元’ 인식」, 『한국사학보』52, 고려사학회, 2013.
· 박종기,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국역 고려사』 완간과 학술적 의의」, 『석당논총』54, 동아대학교부설 석당전통문화연구소, 2012.
· 변태섭, 「高麗史 高麗史節要 의 史論」, 『사총』21 22,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77.
· , 「『高麗史』『高麗史節要』의 纂修凡例」, 『한국사연구』46, 한국사연구회, 1984.
· 신은제, 「『高麗史』 편찬 후 고려에 대한 기억」, 『한국중세사연구』23, 한국중세사학회, 2007.
· 이정란, 「『高麗史』「辛禑傳」의 편찬방식과 자료적 성격」, 『한국사학보』48, 고려사학회, 2012.
· , 「『高麗史』와 『高麗史節要』의 修史方式 비교」, 『한국사학보』52, 고려사학회, 2013.
· 오항녕, 「朝鮮初期『高麗史』改修에 관한 史學史的 검토」, 『태동고전연구』16,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9.
· , 「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 『기록학연구』17, 한국기록학회, 2008.
· 정구복, 「朝鮮前期의 歷史敍述」, 『창작과 비평』11,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1976.
· 최종각. 「이제현의 사론 연구 : 『고려사』 「고려사절요」에 나타나 논찬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한영우,「朝鮮初期의 歷史敍述과 歷史認識」, 『한국학보』3, 일지사, 1977.
· , 「≪高麗史≫ ≪高麗史節要≫의 比較 究」, 『진단학보』48, 진단학회,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