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갑윤, 「한국 정당제 변화의 특성과 요인: 1987~1997」, 『아세아연구 43(1)』, 2000, pp. 59-91.
· 강명세, 「지역주의 정치와 한국정당체제의 재편?」, 『한국정당학회보 4(2)』, 2005.8, pp. 249-270.
· 조현옥, 「사회운동에서 정당으로 독일 녹색당의 설립 과정과 쟁점」, 『현상과인식 26(1·2)』, 2002.5, pp. 124-148.
· 소순창 · 현근, 「한국 선거에서 나타난 “무당파층”과 정당정치」,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2)』, 2006.6, pp. 47-75.
· 정진민,「정당 분극화의 심화와 2012년 미국 대선」, 『한국정당학회보 12(1)』, 2013.3, pp. 5-30.
· 김정훈, 「안철수 현상, 그리고 희망 혹은 희망고문」, 『경제와 사회 93』, 2012, pp. 2012.3, 104-136.
· 조희연·이창언, 「대안정치성의 접합경쟁, 안철수 현상, 이정희 효과」, 『경제와사회 97』, 2013.3, pp. 97-120.
· 강원택, 「영국 양당제의 약화와 자유민주당 지지의 증가에 대한 연구」, 『국제정치논총 38(1)』, 1998.9, pp.215-235.
· 안철수, ‘인재영입’ 가이드라인 제시, 《민중의소리》, 2013-05-17
· 안철수 지지하는 주된 이유는… "깨끗한 도덕성·새 정치 기대". 《한국일보》, , 2011-09-20
· 안철수 지지자 21% 박근혜 찍어, 《중앙일보》, , 2013-04-01
· 박근혜 후보 지지 나선 안철수 팬클럽 등 지지단체 대표자들, 《NSP통신》, 안철수, 새누리까지 흔드나, 《한국일보》, , 2013-05-17 ,
· 안철수, 진보·보수 연합 보좌진 구성, 《세계일보》, , 2013-04-28
· 봉하간 안철수 "노무현, 시대를 앞서 갔던 분", 《데일리안》, , 2013-05-18
· 안철수, 김근태 전 의원 묘역 참배, 《머니투데이》, , 2012-09-29
· 안철수, 이희호 여사 예방 “남북관계 개선시키겠다”, 《충청투데이》, , 2012-10-03
· 안철수 5·18 맞춰 광주 방문… 신당 본격화하나, 《한국일보》, , 2013-05-13
· 박근혜 과거사 사과에 문재인-안철수 반응 온도차, 《프레시안》, , 2012-09-24
· 박근혜, 과거사 사과…문재인·안철수 "환영", 《sbs》, , 2012-09-24
· 문재인-안철수, 같은 듯 다른 정책공약 발표, 《이투데이》, , , 2012-11-12
· “시민들 ‘한표 행사’와 ‘거리 외침’ 둘다 중시했다”, ≪한겨레≫, 행동하는 무당층’ 정치판 흔든다”, ≪내일신문≫, , 2010-10-10
· 국민 26% "안철수 신당 지지하겠다"…민주당 12%, ≪내일신문≫, 2013-05-16 ,
· [이슈] ‘안철수 신당’ 40%-민주당 18%, 호남 지지율 변할까, 《폴리뉴스》, , 2013-05-16
· 박근혜-문재인-안철수, 경제민주화 9대 공약 비교, 《팩트올》, , 2012-10-16
· 안사모 홈페이지, 안사모 강령, , 2013-05-19 .
· 동그라미재단 홈페이지, 출연자의 편지, , 2013-05-19
· 동그라미 재단 홈페이지, 함께하는 사람들 , 2013-05-19
· 장현호, 박근혜-문재인-안철수 복지정책 공약 비교, 2012-11-09, , 2013-05-19
· 장현호, 박근혜-문재인-안철수 정치 쇄신 공약 비교, 2012-11-07, , 2013-06-13
· 네이버 인물, 인물정보 박영숙, , 2013-05-19
· 네이버 인물, 인물정보 유민영, , 2013-05-19
· 안철수 대선 공약집 『안철수의 약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