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이집트 사태와 해외 시각 (Time지 기사 중심)

- 이집트 사태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상황에 대한 시각 및 향후 전망을 간략히 정리 - 이집트 사태에 대한 외신 (TIME)의 논평을 정리 (완역)
11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3.09.15 최종저작일 2013.09
11P 미리보기
이집트 사태와 해외 시각 (Time지 기사 중심)
  • 미리보기

    소개

    - 이집트 사태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상황에 대한 시각 및 향후 전망을 간략히 정리
    - 이집트 사태에 대한 외신 (TIME)의 논평을 정리 (완역)

    목차

    1. 이집트 혁명의 원인
    2. 이집트 사태의 경과
    3. 이집트 사태에 대한 시각 (TIME 논평 요약)

    본문내용

    이집트 혁명 원인
    가난과 실업, 빈부격차
    8000만 이집트인 중 40%가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생활
    물가 상승률은 12.8%, 실업률은 9.7%에 달함. (실업자 중 90%가 이집트 인구의 66%인 30대 이하 청년)
    90년대 이후 민영화 정책 이후에는 양극화와 부정부패가 극심해짐.
    전 국토 면적의 3%만 농사가 가능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값 폭등에 물가 폭등
    30년 독재 정권에 대한 분노
    무바라크 대통령의 폭정
    . 2005년 대선과 2010년 11월 총선에서 부정 의혹 : 9월 예정된 대선에서도 무바라크 혹은 그의 아들 가말 무바라크의 재집권이 확실 시 되는 상황이었음.
    대통령 일가의 부정부패, 가난한 국민들에 대한 토지, 재산 수탈과 야당 세력에 대한 고문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 튀니지 혁명 이후 이집트에서도 시위가 확산.
    이집트 사태 경과
    이집트는 2011년 6월 무하마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군정)이 25년 만에 하야.

    <중 략>

    [TIME]
    21 August 2013 Last updated at 20:48 GMT Share this page

    Egypt: Return to a generals' republic?
    이집트: 군정으로 복귀 ?

    The last few weeks have seen violent scenes and several hundred deaths in Egypt following a crackdown on those protesting against the overthrow of democratically elected Islamist president, Mohammed Morsi, by the powerful Egyptian military.
    That ousting was itself triggered by widespread protests against Mr Morsi's government, which had come to power following a period of military rule after Hosni Mubarak was forced out of office in 2011.
    In this look back at the history and legacy of military rule in Egypt, Middle East expert Dr Omar Ashour argues that the challenges facing the country following the Arab Spring go back to the era of President Nasser and before.
    민선 이슬람 대통령인 모하메드 Morsi 정부를 이집트 군대가 전복한 것에 대해, 지난 몇 주 동안 반대 시의가 있었고, 군부가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격렬한 사태가 발생, 수많은 인명이 목숨을 잃었다.
    사실상, 모르시의 축출도 Morsi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가 도화선이 되었었는데, 모르시 정부는 2011년 무바라크 대통령이 집권에서 물러난 후, 일정 군정 기간이 지난 이후 정권을 잡은바 있다.
    이집트 군정이란 유산의 역사를 회고하면서, 중동 학자인 오마르 Ashour는 이집트는 이제 ‘아랍의 봄’이 지나가고 나세르와 그 이전 시대로 회귀하는 길목에 직면해 있다고 말한다.

    "The coup leader - the hero Mohammed Naguib - gave an example of humility by refusing promotion to the rank of 'lieutenant-general'…This proves that the army does not want power, just the general good," wrote Egypt's renowned historian, Abd al-Rahman al-Rafai, in al-Akhbar newspaper on 1 August 1952.
    His statement did not stand the test of time.
    By February 1954, the humble general, who acted as Egypt's first president, was removed by younger, more power-hungry officers led by Colonel Gamal Abdul Nasser.
    "쿠테타 지도자며 -영웅인 모하메드 나기브는 중장으로 승진을 거부하여, 겸손의 예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는 군대가 권력을 잡으려 하는 것이 아니고 옳은 일을 하려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요.” 이집트의 저명한 사학자인 압드 알-라 흐만 알-라파이씨가 1952년 8월 1일에 알 아크바르 지에 기고했었다.
    그이 이야기는 테스트 기간을 넘기지 못했고 말았다.
    이 겸손했던 장군은 1954년 2월 이집트 첫 대통령으로 집권하였는데, 그도 가말 압둘 나세르 대령이 이끄는 정권욕에 불타는 젊은 장교단에 의해 축출되었다.

    Egypt back then, as it is now, was divided.
    One part of the country wanted a parliamentary democracy, a return to constitutionalism, and the army back to its barracks.
    Another part of Egypt wanted a strong, unchecked charismatic patron who promised land and bread.
    By November 1954, the latter part not only crushed the former, but also destroyed its demands. Basic freedoms and parliamentary constitutionalism were among the casualties.
    Nasser did deliver on some of his promises, including land confiscation and redistribution, and confronting the United Kingdom, the former colonial power, in 1956.
    But the cost was the establishment of an officers' republic: a state where the armed institutions are above any other, including the elected ones.
    그리고 나서 이집트는 현재처럼 분열되어 있다.
    한 부류는 의회 민주주의를 갈망하고 있다. 즉, 헌정으로 복귀와 군이 본연의 군대로 돌아가는 것이다.
    또 다른 부류는 토지와 빵을 약속할 수 있는 강력한 카리스마적 후원자를 원하고 있다.
    1954년 11월까지, 뒤 부류는 전자를 파멸시켰을 뿐 아니라, 그들의 요구 사항도 없애 버렸다.
    즉, 기본적 자유와 의회 헌정주의가 파괴된 것이다.
    나세르는 토지 몰수와 재분배, 1956년에 전 식민 통치국인 영국에 대항하는 등 자신이 한 약속의 일부를
    지켰다. 그러나, 군정의 설립으로 그 대가도 컸다 : 군 기관들이 국민이 인선한 기관 위에 군림하는 국가체제가 만들어 진 것이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이집트 혁명 (KIDA 세계분쟁 데이터 베이스)
    · 기타 참조) 이집트 사태의 전후 일지, 인포그래픽, 2013. 8.22
    · http://www.vop.co.kr/A00000670375.htm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