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채석 외 19명,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비판사회학회, 2012년 Amitai Etzion, “The Third Sector and Domiestic Missons”,『Public Adninstration Review』, Vol.33 , No.4 , July-August 1972
· “시장의 정의”,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9509
· 이선미,“글로벌 거버넌스와 국가-시민사회 관계역학 변화: 독일의 이주법 개정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회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년, P. 539-562
· 유석진. 한영빈 , “국가와 시장의 새로운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2004년
· 노대명, “한국 제3섹터의 현황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
· 조희연, “국가-시장-시민사회의 바람직한 관계”, 기독교윤리실천운동, 1999년
· 최장집, “국가-시장-시민사회의 바람직한 모델”, 기독교윤리실천운동, 1999년
· 박종한 ,“중국 문화 연구의 기초: 문화의 정의, 구조 및 속성”, 중국학연구회 2010년
· 朴鍾漢, “문화의 정의”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년 Pages 443-480
· 김지영,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 표상”,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대중문화를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 역사문화학회
· 이재신. 이민영 , “촛불집회를 통해 나타난 새로운 시민문화와 생활세계의 복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집> 41권2호 ,2010년, pp.103-123
·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7091&efYd=20130323#0000
· 하갑래,“외국인고용허가제의 변천과 과제”,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1년, P. 333-389
· 최홍엽,“외국인 고용허가제 아래의 근로계약관계”,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0년,P.91-123
· 조정남, “현대국가와 다문화주의”, 민족연구 30, 2007, 14.
· 진시원, “한국 다문화주의 담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널:코기토, 2011년 Pages 425-450
·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Volume 42 Issue 2, 2008년 Pages 72-103
· “광주고용노동청: 외국인 고용사업장 중점 점검”, 광주드림, 2013-04-16 06시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3&uid=445412
· “고려대 재학생 58.8% ‘외국인 근로자 차별대우 당연’”, newsis(), 2012-05-24 05:0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517630
· “사회운동”. 사회학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472&docId=1520702&mobile&categoryId=472
· 김용익 ,“보건의료운동의 새로운 주체가 되어야 할 사회운동” ,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Journal 월간 복지동향 Issue 5 ,1999년, Pages 2-3
· 조병희 , “보건의료 시민운동의 성과와 과제” , 학술대회 2004년 Issue 1
· 김태훈 외 4명, “보건의료운동의 이론과 역사, 사회운동”, http://www.movements.or.kr/main/index.php
· 관리자, “현재 의료정책 이슈”, 보건의료단체연합, http://kfhr.org/?cat=5
· 김명희, “일과 건강” , 시민건강증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