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민택, 최낙환.(2009). 브랜드-자아이미지 일치성 결정요인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동기의 역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0(2),221-254
· 김난도, 이준영. (2007). 명품의 소비욕망: 심층면접을 통한 “욕망의 삼각형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18(2),41-58
· 김미정.(2008). 명품브랜드의 가치, 관계품질 및 향후 행동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 :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수진, 정명선. (2006). 패션명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동일시기 브랜드 감정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7), 1126-1134.
· _____, _____. (2008). 패션 명품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관계 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6(6),1076-1086.
· ______, 김재숙. (2009). 패션 명품 소비자의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7(1), 1-14.
· 김유경, 이형룡, 이원봉. (2007). 항공사 이용객의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뢰와 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31(1),309-326.
· 김정란,유태순.(2007). 패션제품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따른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499-505.
· 김한나. (2008).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인터넷 구매결정 연기와 쇼핑정보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5), 766-776.
· 김형식. (2006). 브랜드 명품성 측정도구의 개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효진, 이혜주. (2009). 웰빙 사회의 소비자 가치지향, 지각된 가치, 브랜드 선호도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5(1), 327-341.
· 김해룡, 이문규, 김나민. (2005). 브랜드 애착의 결정변수와 결과변수. 한국소비자 학회,16(3), 45-65.
· 노기엽.(2008).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의 지각된 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박민주, 이유리.(2005). 패션명품 소비자의 상표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1485-1497.
· 박배진, 김시월.(2006). 한,일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가치, 브랜드동일시와 소비자-브랜드 관계 연구: 유명브랜드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7(4), 113-143.
· 박성연, 이유경. (2006).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소비자 만족,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소비자들의 브랜드 개성과 소비자-브랜드 관계 유형 인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7(1). 7-24.
· 박연희, 구양숙, 구동모. (2007).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패션제품 속성평가 및 브랜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격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2),236-246.
· 박주영,이상호,최자영. (2008). 명품브랜드를 향한 태도에 대한 소비가치 및 신념의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191-197.
· 변수정. (2008). 소비가치가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품브랜드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성영신, 한민경, 박은아.(2004).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티 몰입도에 따른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5(3),15-34.
· 송지은. (2008). 성인여성의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명품구매행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종국, 공혜경, 강명주. (2006). 명품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감정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1(1), 39-62.
· 신재익, 황인호, 정기한. (2006) B2C 전자상거래의 소비자-브랜드 관계품절, 재구매의도, 구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3(0), 191-207.
· 안광호, 임병훈, 정선태.(2008). 쇼핑가치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백화점 쇼핑행동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10(2),99-123.
· ______, 임미화. (2008). 제품편익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자기감시성의 조절적 효과. 소비자학연구, 19(1),169-189.
· ______, 이지은, 전주언. (2008). 명품브랜드-자아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한국마케팅저널, 10(4),1-33.
· 양하림. (2009).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 측정항목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유정근, 이영찬, 이영구.(2010).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의 지각된 가치 및 고객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13(1), 5-28.
· 이성수, 성영신.(2001). 구매자 - 판매자 관계에서 소비자 몰입: 다차원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2(2),31-60.
· 이승희,이랑,정소연.(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1241-1251.
· ______, 장윤경.(2007). 패션 명품브랜드 충성도가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의류학회지, 31(3), 475-485.
· ______, 장윤경. (2007). 패션 브랜드애착이 확장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3), 151-161.
· 이옥희. (2008). 인터넷 패션 쇼핑몰에서 상호작용성과 쇼핑가치가 관계몰입과 웹사이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16(6),1126-1141.
· 이유재, 라선아. (2002). 브랜드 퍼스낼리티 - 브랜드 동일시 - 브랜드자산 모형: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7(3),1-33.
· _____,김주영, 김재일. (1996). 서비스 산업의 현황에 대한 실증연구. 소비자학연구, 7(2),129-157.
· 이인성, 이기호, 최지웅, 양승화, 임성택, 전석원, 김진우, 홍세준. (2008).
· 만족과 감정적 애착의 이론적 통합 모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학연구, 37(5), 1171-1203.
· 이준영,김난도. (2007). 명품의 소비욕망: 심층면접을 통한 욕망의 삼각형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18(2),41-58.
· 이지영. (2003).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Brand Affect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학식,임지훈.(2003). CRM이 고객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의 지각된 관계적 편익과 관계몰입의 매개적 역할. 경영학연구 ,32(5),1317-1347.
· ______,임지훈.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법문사 2007.
· 정광현. (2005). 레스토랑 속성평가, 지각된 가격, 가치와 만족 및 재이용 의도간의 관계. 외식경영연구, 8(1),27-48.
· 전인수, 김은화. (2005). 브랜드 명품화의 3단계 모델: PPCA 모델. 소비자학연구, 16(1), 209-227.
· 전외술. (2009). 지각된 가치 차원, 고객만족,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 구매자들을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23(1), 29-51.
· 조윤기,이상민. (2008). 타인의식적 소비성향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브랜드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19(2),263-284.
· 주보림. (2008). 명품브랜드 창출을 위한 로드 맵 연구: 세계적 패션 명품 기업들의 성공 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패션디자인학회, 8(1),46-63.
· 주영환. (2007). 해외 골프관광객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1(2),325-337.
· 주현식, 권용주, 이성호. (2008). 호텔레스토랑의 LOHAS이미지,지각된 서비스품질 및 가치, 고객만족, 충성도와의 영향관계. 호텔경영학연구, 17(6),1-18.
·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842-854.
· ____,(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209-218.
· 최설매. (2009). 쇼핑관광객의 감성적 소비성향과 명품 브랜드 추구혜택, 애착 및 애호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순화. (2008) 소비자의 브랜드 몰입에 관한 연구: 감정적, 행동적 몰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9(1),45-67.
· 최현주. (2003). 진 브랜드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감성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추순진, 김상현. (2003). 인터넷 쇼핑환경에서의 다차원적 관계몰입이 고객의 미래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통상학회, 21(4),253-278.
· 한승수.(2005). 자아표현적 소비성향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언론학회, 49(6),493-537.
· ______,염성원.(2006). 브랜드 애착 형성경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설적 경로모형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관고홍보학, 8(4),167-200.
· 한진수, 배선경, 신홍철. (2008). 로열티 프로그램이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과 긍정적 구전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7(2), 21-33.
· 홍병숙, 나윤규. (2008). 지각된 쾌락적 가치, 유용성 및 용이성이 인터넷 쇼핑몰 이용태도와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1), 147-156.
· 홍수화, 김미영.(2008). 해외 패션 고급품의 원 상표와 확장 상표의 이미지와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32(10), 1640-1650.
· 상위 1%가 좋아하는 명품은 에르메스.(2009.7.12.)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