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만중, 구운몽 , (정규복 재구 노존본)
· 김만중, 구운몽 , 교문사(이승욱 정병욱 교주본)
· 김만중, 서포집 서포만필 , 통문관 영인본.
· 김만중, 서포만필 , 일지사.
· 김만중, 서포집 , 민족문화추진회.
· 범망경 , 영남대 도서관.
· 아함경
· 잡아함경
· 송시열, 송자대전 , 한국문집총간 115, 민족문화추진회.
· 안석경, 삽교집 하, 아세아문화사.
· 知訥, 修心訣 , 禪修行의 길잡이 , 현대불교신서.
· 希運, 傳心法要 , 禪修行의 길잡이 , 현대불교신서.
· 각묵 스님(2001), 금강경 역해 , 불광출판부.
· 구나라뜨나(1980), 우리는 어떤 과정을 통하여 다시 태어나는가 , 고요한 소리.
· 김병국(1983), <구운몽>, 그 연구사적 개관과 비판, 김만중연구 , 새문사.
· 김병국(2001),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 서울대 출판부.
· 김병국 최재남 정운채(1992), 서포년보 , 서울대 출판부
· 대림 각묵 스님(2002), 아비담마 길라잡이 상. 하.
· 변상섭(2000), 선 신비주의인가 철학인가 , 컬처라인.
· 붓다다짜(2000), 명상의 열매 , 고요한 소리.
· 비구 보디 엮음(1983), 보시 , 고요한 소리.
· 사재동 편(2000), 서포문학의 새로운 탐구 , 중앙인문사.
· 서암 스님 시자(2003), 소리없는 소리 , 十月.
· 석진오 평역(1988), 금강경 연구 , 고려원.
·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2002), 死後生 , 대화출판사.
· 신재홍(1994), 한국몽유소설연구 , 계명문화사.
· 오형근(1985), 불교의 영혼과 윤회관 , 불교사상사.
· 유병환(1998), 구운몽의 불교사상과 소설미학 , 국학자료원.
· 유병환(2000), 구운몽의 사상적 실상, 서포문학의 새로운 탐구 , 중앙인문사.
· 이강옥(1997), 구운몽 과 육미당기 에 나타난 세속적 삶의 두 모습과 그것의 극복 방식, 고전문학연구 별집 6 국문학과 불교 , 한국고전문학회.
· 이강옥(2001), 삼국유사 의 세계관과 서술미학, 국문학연구 제5호, 국문학회.
· 이주영(2003), 구운몽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문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발표문.
· 장효현(1993), <구운몽>의 주제와 그 수용사에 관한 연구, 김만중문학 연구 , 국학자료원.
· 정규복(1981), 구운몽 원전의 연구 , 일지사.
· 정규복(1984), 구운몽 연구 , 고려대 출판부
· 정규복외(1993), 김만중문학연구 , 국학자료원
· 조동일(1983), 구운몽과 금강경, 무엇이 문제인가, 김만중연구 , 새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