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사례]대북정책 조사사례, 비정규직 조사사례, 노동시간단축 조사사례, 최저임금제 조사사례, 주5일제근무(주5일근무제) 조사사례, 국민가치관 조사사례, 혼전순결 조사사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4.13
- 최종 저작일
- 2013.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대북정책 관련 조사사례
1. 대북 지원에 대한 평가
2. 국제적 지지와 협력에 대한 의견
3. 통일의 전망과 중점 과제에 대한 의견
Ⅱ. 비정규직 관련 조사사례
1. 인권위원회의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의견 제시 인지여부
2. 기간제 제한 관련
3. 비정규직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명문화 및 기준 마련 관련
4. 파견제 제한 관련
5. 인권위원회 안에 대한 정부의 수용여부
Ⅲ. 노동시간단축 관련 조사사례
1. 총연월차 휴일수 단축에 대한 의견
2. 생리휴가제 존폐에 대한 의견
3. 주5일제 단계적 도입에 대한 의견
4. 탄력적 근로시간제 확대에 대한 의견
5. 정부안 저지를 위한 총력투쟁에 대한 의견
Ⅳ. 최저임금제 관련 조사사례
1. 최저임금제 인지여부
2. 현행 최저임금 수준에 대한 견해
3. 노동계 인상요구안에 대한 견해
4. 적정 최저임금 수준
5. 감시/단속, 장애인, 수습 노동자의 최저임금제 비적용 인지여부
6. 감시/단속, 장애인, 수습 노동자에게 최저임금제 적용 찬반
7. 최저임금제 관련 주장에 대한 찬반
Ⅴ. 주5일제근무(주5일근무제)관련 조사사례
1. 주5일 근무제 정부 입법안에 대해 72.5%가 찬성
2. 휴일?휴가제도 국제기준에 맞게 조정해야 59.6%
3. 현행수준 임금 유지 돼야 76.0%
Ⅵ. 국민가치관 관련 조사사례
Ⅶ. 혼전순결 관련 조사사례
1. 일반적으로 동거에 대한 생각이 부정적일 것이다
2. 신세대로 갈수록 동거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일 것이다
3. 그 외 특별히 가설로 세우지 않았으나 분석하며 알게 된 점들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대북정책 관련 조사사례
1. 대북 지원에 대한 평가
남북 정상회담회담을 갖기 위한 실무적 합의내용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스러운 반응(73.5%)을 보였다. 그리고 대북지원에 대해서도 김영삼 정부 때의 54.2%에 비해 다소 증가한 60.2%의 지지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수치들은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87.0%)이나 정상회담(94.1%)에 대한 지지에 비해 다소 낮은 것이 사실이다.
먼저 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대북지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사람들은 전체의 35.1%였다. 연령별로는 ‘50대(44.4%) > 60대 이상(42.5%) > 40대(37.2%) > 30대(31.2%) > 20대(29.6%)’의 순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회담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대북지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실무회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은 ‘20대(31.6%) > 40대(28.2%) > 60대 이상(25.6%) > 50대(22.7%) > 30대(18.2%)’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 략>
(가설의 특성상 위 문항은 동시에 다루도록 하겠다.)
▶위의 두 가설에 대한 답을 일단 말하고 간다면 두 가설은 다 그대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편의 동거면에서 본다면 22살 아래쪽, 즉 신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은 중립 내지는 한번 해보고 싶어 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23위쪽, 즉 신세대에 끼지 못하는 분들 혹은 사회에 어른뻘 되시는 분들은 중립부분 혹은 부정적인 부분에 많이 몰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사회 현상부분에서는 24살 아래쪽으로는 반대라고 치부하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고 주위사람이라면 말리겠단 의견도 20살 아래쪽으로는 단 한명도 없었다는 점을 미루어 본다면 신세대는 동거란 새로운 문화에 대해서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자료
김재훈 - 주 5일제 근무와 비정규근로,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안홍순 - 노동시간단축 : 그 쟁점과 노동시간의 인간화, 한국사회정책학회, 2000
윤진호 - 최저임금제 개혁을 위한 국제연대운동과 그 시사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0
장경학 - 국민 정신 개조 와 새가치관 정립, 한국자유총연맹, 1980
최진욱 - 통일환경의 변화와 대북정책의 방향 년, 한국행정학회, 2011
한상근 - 비정규직의 복지정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