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 스틸(De Stijl) 목적, 데 스틸(De Stijl) 유형, 데 스틸(De Stijl) 의의, 데 스틸(De Stijl) 성질,주요인물, 데 스틸 몬드리안 작품활동,전개
- 최초 등록일
- 2013.04.12
- 최종 저작일
- 2013.04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개요
Ⅱ. 데 스틸(De Stijl)의 목적
Ⅲ. 데 스틸(De Stijl)의 유형
Ⅳ. 데 스틸(De Stijl)의 의의
Ⅴ. 데 스틸(De Stijl)의 성질
Ⅵ. 데 스틸(De Stijl)의 주요인물
1. 데오 반 되스버그(1883-1931)
2. 코르넬리스 반 에스테렌
3. 피에트 몬드리안(1872-1944)
4. 로버트 반트 호프(1887-1964)
5. 게리트 리트벨트(1888-1964)
6. 엘 리시스키(1890-1941)
Ⅶ. 데 스틸(De Stijl)의 몬드리안 작품활동
Ⅷ. 데 스틸(De Stijl)의 전개
1. 1917(18)-1921
2. 1921-1925
3. 1925-1931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발족에는 건축, 회화, 조각 등 넓은 분야에서 예술가들이 참가하였지만, 전원이 얼굴을 마주한 일이 한 번도 없을 정도로 느슨한 조직이었다. 거의 14년간 지속된 네덜란드의 데 스틸(De Stijl)운동은 세 사람의 작품에 집중되고 있다. 그들은 화가 몬드리안(Piet Mondrian), 화가이자 건축가 데오 반 되스버그(Theo van Doesburg), 그리고 가구제조업자이자 건축가인 게리트 리트벨트(Gerrit Rietveld)이다. 1917년 반 되스버그의 지도 하에서 최초로 창립에 참여하였던 다른 예술가들, 즉 화가 바트 반 데 레크(Bart van der Leck), 죠르주 반통겔루(Georges Vantongerloo), 빌모스 후스자르(Vilmos Huszar), 건축가 오우드(J. J. Oud), 로버트 반트 호프(Robert Van`t Hoff), 장 윌스(Jan Wils), 시인 안토니 콕(Anthony Kok) 등은 곧 이 운동의 본류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방향으로 흩어졌다. 그러나 반 데 레크와 오우드를 예외로 하고, 모든 사람들은 잡지 『데 스틸』의 제2호(1918년)에 게재된 8개항의 선언문에 서명하고 있다.
<중 략>
2. 1921-1925
제 2단계는 새로운 미학적 개념이 형태화한 기간으로 원심적 구성, 비대칭의 균형, 면의 분절과 군화(群花), 면의 강조 등으로 특징 지워진다.
제 2 단계는 데 스틸 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반 되스버그와 엘 리시스키의 만남이다. 리시스키는 요소주의적 표현에 대한 자기 자신의 형태를 개발 하였는데 -- 러시아 요소주의는 절대주의 네덜란드 요소주의는 신조형주의가 각각 그 원천을 이루고 있다 --1921년 이후 리시스키에 의한 "프로운(Proune)"이라는 구성의 영향 하에서, 되스버그와 반 에스테렌은 엑소노메트릭으로서 에온스 로젠버그가 소유한 파리소재의 "현대의 성과(L`Effort Moderne)"라는 화랑에서 개최된 자신의 작품에서 신조형주의의 건축수법을 구체화하였다.
1924년에 리트벨트는 데 스틸의 개념을 건축적으로 완벽하게 표현한 슈뢰더 주택을 설계하게 되고 오우드의 단지 주택이 건설된다.
참고 자료
김흥섭, 데 스틸(De Stijl) 사조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
권성진, 데 스틸(de Stijl) 건축 디자인의 의의에 관한 연구, 서라벌대학, 1995
이종원, 데 스틸(DE STIJL)의 추상적 건축환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1987
윤난지, 데 스틸 건축회화와의 관련성, 현대미술사학회, 1992
오장환, 근대의 ‘생성(Becoming)’의 미학과 그 형태-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 생성으로의 미학적 전개와 20세기 전환기 데 스틸의 ‘관념조형’의 사상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08
전민재, 데 스틸의 내·외부공간 연계방식이 현대건축에 적용된 원리, 한남대학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