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행동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3.29
- 최종 저작일
- 2012.05
- 4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제품 특성에 따른(관여도차이) 구매결정 과정의 분석과 프로모션/광고 전략의 차이
목차
1. 서론
2. 본론
(1) 관여도
1) 제품선정 과정 및 방법
ㄱ. 16개의제품선정
ㄴ. 설문조사
ㄷ. FCB Grid
2) 결론
(2)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구매결정의 차이파악(인터뷰를 통한)
1) 노트북
2) 감기약
3) 정장
4) 패밀리레스토랑
(3)프로모션 전략분석
1) 노트북
2) 감기약
3) 정장
4) 패밀리레스토랑
(4)광고의 표현방식 및 전략분석
1) 노트북
2) 감기약
3) 정장
4) 패밀리레스토랑
(5)[관여도-소비자의사결정과정-프로모션/광고전략]의 차이분석
1)고관여 Think Product
2)저관여 Think Product
3)고관여 Feel Product
4)저관여 Feel Product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수없이 많은 제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며 살아가고 있다. 구매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제품들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것들도 있고, 지적∙감성적∙사회적 만족을 통한 자아실현을 위해 필요한 것들도 있다. 이 가운데 개인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는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Berger’는 전자의 비교를 실용적인 면이 주로 고려되는 제품인 ‘Think Product’와 쾌락적 혹은 상징적인 면이 주로 고려되는 제품인 ‘Feel Product’로 나누었다. 그리고 후자의 비교를 ‘관여도’라는 측면으로 ‘고 ∙ 저’로 나누었다. 이 비교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반영한 제품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마케팅에 있어서 중요한 원천자료로서 사용된다. 소비자들의 구매결정 과정의 차이에 따른 효과적인 마케팅을 하는 것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척도라 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Berger’의 기준에 대한 각 제품의 소비자 구매결정과정 차이를 파악하고, 실제 적용되는 프로모션∙광고전략을 확인하여 소비자행동에 따른 실제 마케팅 적용사례를 알아보기로 한다.
2. 본론
(1) 관여도
1)제품선정 과정및 방법
ㄱ. 조원들과 합의하여 FCB Grid 사분면에 골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품(16개)을 우선 선정하였다.
고관여 Think Product : 노트북, 전자사전, MP3, 디지털카메라
저관여 Think Product : 기능성껌(은단, 자일리톨 등), 감기약, 샴푸, 화장지
고관여 Feel Product : 시계, 구두, 정장, 지갑
저관여 Feel procuct : 패밀리레스토랑, 커피, 맥주, 치킨
ㄴ. 선택한 다수의 제품으로 하여금 FCB Grid에 분포할 수 있도록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 설문지의 내용은 관여도 높고 낮음과 Think Product에 속하는지 Feel Product해당하는지를 구분 할 수 있도록 7가지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