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이상철, 「커뮤니케이션 발달사」(서울: 일지사, 1982)
· 2. 유재천, 「한국언론과 언론문화」(서울: 나남, 1988)
· 3. 공보처, 「정기간행물 행정편람」, 1996.6.
· 4. 팽원순, 「매스커뮤니케이션 법제이론」(서울: 법문사, 1995)
· 5. 황경식, 「사회정의의 철학적 기초」(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4)
· 6. 강상현·채백 역음,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서울: 한나래, 1993)
· 7. 박종수, 한국언론의 윤리성과 자율규제 , 「언론중재」, 1993. 여름호.
· 8. 박영상, "옴부즈맨제도의 실태-미국제도를 중심으로", 「언론중재」, 1993.여름호.
· 9. 안경아, "한국의 언론윤리에 관한 이론적 소고: 언론윤리강령 분석과 언론인의 직업윤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10. 윤승모, "한국언론 중재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1981-1991년까지 중재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 11. 한국언론연구원, "옴부즈맨 실태와 의식 6개국 옴부즈맨 대상 설문조사 보고서",「신문과 방송」, 1990. 11.
· 12. 정진석, "언론과 반론권 언론 옴부즈맨을 중심으로",「언론중재」, 1994. 겨울호.
· 13. 윤석홍, 조선일보 옴부즈맨제도와 현황과 평가,「신문연구」, 제57호, 1994. 여름호.
· 14. 박운희, "프랑스에 있어서의 반론권",「언론중재」, 1995. 봄호.
· 15. 박운희, "독일의 반론권",「언론중재」, 1995. 여름호.
· 16. 박운희, "독일의 반론권",「언론중재」, 1995. 가을호.
· 17. 박용상, "정정보도청구권 제도의 일반적 고찰",「언론중재」, 1989. 가을호.
· 18. 언론중재위원회, "미국에서의 언론매체에 대한 반론권(번역문)",「언론중재」, 1994. 봄호.
· 19. 양경승, "반론보도 청구사건의 주요쟁점",「언론중재」, 1996. 겨울호.
· 20. 강경근, "반론권 행사의 실제와 언론중재제도", 1994. 겨울호.
· 21. 박인수, "반론보도청구권의 행사와 문제점",「행정과 정의 11집」, 대구지방변호사회, 1997.
· 22. 유일상, "언론법제 연구의 성격과 방법",「언론중재」, 1996, 봄호.
· 23.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중재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 1996, 겨울호
· 24. 양삼승, "개정된 언론 중재제도", 「언론중재」, 1996, 여름호.
· 25. 권오곤, "직권 중재결정의 법적 의의 및 효력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방안(ADR)의 차원에서", 「언론중재」, 1996, 가을호.
· 26. 언론중재위원회, "96년도 중재신청처리 및 시정권고 현황", 「언론중재」, 1997, 봄호.
· 27. 양삼승, "언론보도의 개선방안 반박보도 청구 등에 관한 법률제정", 「언론중재」, 1992, 가을호.
· 28. 이혜복, "언론중재제도의 운용 10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언론중재」, 1991, 봄호.
· 29. 유재천, "언론의 사회적 책임과 언론중재제도", 「언론중재」, 1989, 겨울호.
· 30. 박용상, "정정보도청구권 행사의 요건과 절차", 「언론중재」, 1991, 겨울호.
· 31. 박용상, "정정 보도청구권 및 언론중재제도의 입법적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