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김수영][서정주][박노해][김남주][박인환][박두진][주요한][조연현]시인 김수영, 시인 서정주, 시인 박노해, 시인 김남주, 시인 박인환, 시인 박두진, 주요한,조연현
- 최초 등록일
- 2013.02.23
- 최종 저작일
- 2013.0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시인][김수영][서정주][박노해][김남주][박인환][박두진][주요한][조연현]시인 김수영, 시인 서정주, 시인 박노해, 시인 김남주, 시인 박인환, 시인 박두진, 주요한,조연현
목차
Ⅰ. 시인 김수영
1. 아버지의 사진
2. 폭포
3. 하....그림자가 없다
4. 푸른 하늘을
5. 풀
Ⅱ. 시인 서정주
Ⅲ. 시인 박노해
1. 1957년
2. 1976년
3. 1985년
4. 1989년
5. 1991년
6. 1998년
Ⅳ. 시인 김남주
1. 1946년(1세) 10월 16일
2. 1960년(15세)
3. 1963년(18세)
4. 1964년(19세)
5. 1965년(20세)
6. 1969년(24세)
7. 1972년(27세)
8. 1973년(28세) 2월
9. 1974년(29세)
10. 1975년(30세)
11. 1976년(31세)
12. 1977년(32세)
13. 1978년(33세)
14. 1979년(34세) 10월 4일
15. 1980년(35세) 5월 2일
16. 1984년(39세)
17. 1985년(40세)
18. 1986년(41세)
19. 1987년(42세)
20. 1988년(43세)
21. 12월 21일
22. 1989년(44세) 1월 29일
23. 1990년(45세)
24. 1991년(46세)
25. 1992년(47세)
26. 1993년(48세)
27. 1994년(49세) 2월 13일(일)
28. 1995년
29. 1999년
30. 2000년
Ⅴ. 시인 박인환
1. 1926
2. 1944
3. 1945
4. 1946
5. 1948
6. 1949
7. 1951
8. 1952
9. 1953
10. 1955
11. 1956
12. 1986
Ⅵ. 시인 박두진
Ⅶ. 시인 주요한
Ⅷ. 시인 조연현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시인 김수영
도시문명의 비판, 불안한 시대사조의 반영, 민주주의의 진정한 실현과 자유의 성취, 불의에 관한 과격한 직언적 비판과 시정적 어사의 대담한 구사, 1950년대 전반기 시인들 중 전위적 실험정신을 가장 과감하게 발휘한 시인
1. 아버지의 사진
메마른 관계의 의식만이 제시, 자아와 세계의 관계의 구조적 의미를 해명하는 지적 인식과 비판의식 때문에 야기되는 차가움, 역사와 현실이 무리로 이어지는 관계의 불합리를 고지시키는 작품
<중 략>
대부분의 평자들이 주요한을 <불놀이>를 발표한 ‘자유시 운동의 선구자’라고 하여 그 평가를 한정시키는 데 반해서 정한모는 앞에서 이미 말한 것 외에 두 가지 사실을 더 들어 그 평가의 적절치 못함을 지적하고 있다. 첫 번째는 그의 자유시 운동이 단순히 프랑스 자유시 운동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국민적 정조를 나타내는 민요와 동요를 개발하여 민중에게 의식적으로 더 가까이 가려고 한 역사 의식의 소산이라는 점, 두 번째는 <불놀이>가 작가의 가치 평가를 넘어서 지나치게 역사적인 의의를 부여 받고 있는 점에 대한 재고의 가능성이고, 세 번째는 그의 시적 탐구가 퇴폐적인 것이 아니라 <해의 시절>, <아침 처녀> 등에서 보듯이 밝고 건강한 것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후기시에서 초기시의 경향을 넘어서 민중성을 의식적으로 지향한 점은 주요한의 시사적(時史的) 의의를 재평가하는 데 적절한 근거가 되는 사실이라고 하겠다. 그는 자신의 시집 발문에서 “사회 혁명적 색채를 가진 작품에는 반대하면서 의식적으로 민중시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는데, 이것은 그의 신시 운동의 성격을 잘 드러내 주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구명숙, 박노해 시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김원영, 박인환 시 연구, 호남대학교, 2008
박정환, 서정주시인 연구, 공주대학교, 1985
신성원, 김남주 시의 생태적 모성 연구, 공주대학교, 2011
신규호, 시인 박두진론, 성결대학교, 2001
이인순, 시인 김수영 연구, 전북대학교,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