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1일부로 한국군으로의‘전시작전통제권 환수’가 의미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그동안 한미연합군사령관이 주도적으로 행사했으나 앞으로는 한국군이 주도하고, 미군이 지원하는 개념의 새로운 동맹군사구조로 바뀐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제 한국군은 명실상부하게 국가의 안보를 주도적으로 계획하여 대비하고, 유사시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는 적을 스스로 격멸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 군 상부지휘구조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군정·군령의 이원화체제로 인하여 예하 작전부대 입장에서는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작전지휘를, 각 군 본부로부터는 작전지휘를 제외한 지휘를 받음으로써 지휘체계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 작전부대의 다중지휘체계로 인한 능률성 저하와 합참조직 내 인적구성의 3군간 불균형은 군의 합동성 증진에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문민통제 측면에서는 구조적인 면과 인적구성면에서 많은 불합리성이 존재하여 각 군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3년여 남은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 후에는‘한국군 주도-미군 지원’의 지휘관계속에서 작전을 수행해야 하므로 현재와 같은 구조로는 한미연합체제하에서 효과적인 작전수행이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군 상부지휘구조의 개혁은 미룰 수 없는 시대의 요구가 되고 있다.
<중 략>
이러한 구비조건을 바탕으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이후의 상부지휘구조를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고 합동성이 강화된 전투 임무 중심의 조직으로 발전시킨다는 기본 원칙하에 다음과 같이 개편하여야 한다.
첫째, 전·평시를 막론하고 합참본부와 합참의장에게 부여되는 군령권 행사에 각 군 본부, 참모총장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합참본부의 인적구성이 특정 군 출신에게 편중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합참본부의 주요 보직자들은 직위별로 모두 합동성에 관한 교육 이수 및 특기보유, 혹은 합참본부에서의 근무 경력을 필수적을 갖추도록 요구하고, 그것을 규정화해야 한다.
넷째,‘합동군사령부’를 설치, 육·해·공군 전투부대의 작전지휘를 전담하고, 소속 장교들에 대한 인사권을 부여해야 한다.
· 국방부,『국방백서2010』, 서울: 국방부, 2010.
· 국방부,『한미군사관계사』,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0.
· 김정익,『한국의 미래 전쟁양상과 한국군의 합동작전개념』,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 김종하·김재엽,『천안함 이후의 한국국방』, 서울: 북코리아, 2010
· 김종하·김재엽,『국방개혁2020 추진방향과 입법과제』, 대전: 한남대 국방전략 연구소, 2005.
· 심지연·김일영,『한미동맹 50년: 법적 쟁점과 미래의 전망』, 서울: 백산서당, 2004.
· 윤우주,『한국군의 군제개혁사』, 서울: 한성애드컴, 2010.
· 이석복,『국군조직법의 당위성과 정부의 입장』, 서울: 국방부, 1990.
· 한국국방안보포럼,『전시작전통제권 오해와 진실』, 서울: 플래닛 미디어, 2006.
· 합동참모본부,『합동기본교리』, 서울: 합동참모본부, 2009.
· 김인태,“한국군의 합동성 강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2
· 안광찬,“헌법상 군사제도에 관한 연구: 한반도 작전지휘권을 중심으로”, 동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3
· 한상훈,“한국군의 군구조 발전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8
· 국방부,“국방개혁 기본계획-상부지휘구조 개편”, 서울: 국방부, 2011.
· 김병기,“한미 군사동맹의 발전과 전작권 전환”,「합동참모본부」제37호, 서울: 합동참모본부, 2009.
· 김종하·김남철,“한국의 합리적 軍운영을 위한 개혁방향”,「사회과학연구」제20 권 1호,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 김재철,“한미 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준비의 진단과 대비”,「아시아연구」제13 권 1호, 한국아시아 학회, 2010.
· 노훈·조관호,“군 상부구조 개편: 동기와 구현방향”,「전략연구」제18권 제1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1.
· 박창희,“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신연합방위체계의 효율성”,「국방정책연구」제 26권 제2호, 한국국방연구원, 2010.
· 박휘락,“군 상부지휘구조 개편 분석과 국방개혁 활성화를 위한 제언”,「국가전 략」제17권 4호, 세종연구소, 2011.
· 박휘락,“국방개혁: 운영분야 개혁과 그 방향”,「군사논단」통권 제61호, 한국군 사학회, 2010,
· 박휘락,“한반도 작전환경에 적합한 상부지휘구조 개편방향: 위험관리를 중심으로” , 한국군사학회 정책토론회 자료, 2011.
· 상부지휘구조 개편추진단,“상비군을 보유한 주요 31개국 군제분석”, 국방부, 2011.
· 이한호,“미래 전에 대비한 한국군의 상부지휘구조”, 한국국방안보포럼 주최 세미 나 자료, 2011.
· 정경영,“전시작전통제권 전환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 KPI리포트 제1호, 한반도 평화연구원, 2009
· 정욱식,“한미군사문제 현안과 한반도 평화”,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정책토론 회 자료, 2005.
· 형혁규,“전시작전통제권 전환시점: 논의배경과 쟁점”,「이슈와 논점」제64호, 국 회입법조사처, 2010.
· 형혁규,“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연기에 따른 쟁점과 과제”,「이슈와 논점」제187호, 국회입법조사처,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