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컴퓨터의 대중적 보급 등으로 정보의 처리와 그 속도가 엄청나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정보의 처리 및 저장, 전달, 가공, 재현 등 각 기능들이 급속히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이다. 또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인 통신과 미디어 기능이 결합하면서 단순한 유선전화나 TV의 수준을 넘어서 이동전화, 초고속통신, 인공위성통신 등 혁신적인 전자통신 매체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기술과 전자통신 및 미디어 기술이 통합되면서, 정보통신기술은 더욱 고도록 발달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상에서 새롭게 창출된 사이버공간
<중 략>
여전히 대도시 도심부에 집중하는 경향이며 그와 같은 입지구조가 강화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매출액 기준으로 3,000대 기업본사의 1990~2000년 사이 입지 경향을 보면, 수도권에 입지 비율이 69%에서 72%로 증가하였으며, 서울에의 입지는 전국대비 48%에서 53%로 증가하였다(양재섭·김정원, 2004). 그러나 사무활동의 입지변화의 조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부분적으로는 사무활동이 분산되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의 차원에서 볼 때 전반적으로 서울의 입지 우위가 유지되고 있지만, <표 3-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조업을 보조하는 사무활동의 경우 서울의 입지 비중이 다소 감소하고 경기지역의 비중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점이다.
<중 략>
결론적으로 인터넷 및 인터넷을 바탕으로 한 비즈니스는 장소를 토대로 성장하므로 저개발지역에서 지역경제의 활성화 없이는 정보화 시대의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매우 힘들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역 공동체, 기업 및 지역주민의 변화에 대한 대처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지방)에서 정체성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토대로 지속적인 지역경제의 성장에 관한 메커니즘이 형성되어야 한다.
· 김경열(2000), 재택근무의 운용에 따른 노동법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개별적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 양재섭·김정원(2004), 서울 대도시권의 업무공간 입지변화 분석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이윤영(2001), 통신판매의 유통시스템과 판매지역, 경북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 이자원(2000), 정보화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지리학연구』, 34(4). 245-258쪽.
· 이재열(2001), 테헤란밸리 지식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지리교육논집』, 45, 45-70쪽.
· 이정훈(1999), 동경대도시권에서 도심고차업무기능의 교외이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 이희연이용균(2004), 인터넷 확산에 따른 디지털 격차와 공간구조 변화,『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2), 407-427쪽.
· 임석회(2005), 정보기술에 의한 도시공간의 재구성-도시 경제활동의 변화를 중심으로,『공간과 사회』, 통권 제24호, 50-84쪽.
· 조성혜(1995), 재택근무자(텔레커뮤터)의 시·공간 행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 지식경제부(2010), http://www.itstat.go.kr.
· 최병두(2002}), 정보자본주의와 새로운 도시공간,『국토』, 244, 6-12쪽.
· 최희갑(2001), 각국 은행업의 디지털화 현황과 과제, 삼성경제연구소.
· 한국인터넷진흥원(2005), 2004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 한국전산원(2005),『한국인터넷백서』.
· 황주성(2002), 배치의 공간에서 흐름의 공간으로,『국토』, 244, 13-19쪽.
· Cairncross, F. (1997), The Death of Dista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Capello, R. and A. Gillespie. (1993), Transport, communications and spatial organization: future trends and conceptual framework, Giannopoulos, G. and A.
· Gillespie (eds.),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innovation in Europe, London: Balhaven.
· Castells, M. (1989), The Informational City (최병두 역, 2001, 정보도시, 한울).
· Graham, S. and S. Marvin. (1996), Telecommunications and the City : Electronic Spaces, Urban Plac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Hartshorn, T. A. (1992), Interpreting The City: An Urban Geography (안재학 역, 1997, 도시학개론, 도서출판 새날).
· Harvey, D. (1985), The Urbanization of Capital, Oxford: Blackwell.
· Hepworth, M. (1987), The information city. Cities, August, pp.253~262.
· Lucas, H. C. (2001), Information technology and physical space, Communication of the ACM, pp.89~96.
· Mokhtarian, P. et al. (1998), A synthetic approach to estimating the impacts of telecommuting on travel, Urban Studies, 35(2), pp.215~241.
· Nilles, J. M. (1988), Traffic reduction by telecommuting: a status review and selected bibliography, Transportation Research A, 22, pp.301~317.
· Yim, S. H. (2005), Industrial restructuring for global competition and regional disparity in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39(1), pp.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