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정인, 「대안민주주의」, 참여사회연구소 편, 『참여민주주의와 한국 사회』, 창작과비평사, pp. 49-75.
· 과학기술부·유네스코한국위원회 (1999), 「과학과 과학적 지식의 이용에 관한 선언/과학의제-행동강령」.
· 김대환 (1997), 「참여의 철학과 참여민주주의」, 참여사회연구소 편, 『참여민주주의와 한국 사회』, 창작과비평사, pp. 15-48.
· 김명진(2001), 『대중과 과학기술』,잉걸, pp. 257-271.
· 김환석 (1999a) 「과학기술의 민주화란 무엇인가」, 참여연대 과학기술 민주화를 위한 모임 편, 『진보의 패러독스』, 당대, pp. 13-41.
· 김환석 (1999b), 「시민참여를 실험하다 ― "유전자조작식품 합의회의" 체험기」, 참여연대 과학기술 민주화를 위한 모임 편, 『진보의 패러독스』, 당대, pp. 289-321.
· 김환석 (2001),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와 과학기술민주화운동」, ≪다른과학≫ 10호, 19-25.
· 송성수 (1999), 「현대 산업사회에서 과학기술자의 윤리」,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소식지 ≪자연과학≫ 7호, 57-63.
· [온라인]. http://blog.daum.net/assaa/4123015 , ??과학기술과 기독교윤리??, 1-9쪽.
· [온라인]. http://report.empas.com/mypage/down.hcam?status=down&menu_key=DOWN. [2008.11.18] 1-6쪽.
· 이덕환 (2001),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 대토론회 "과학전쟁" 발표논문집, pp. 8-21.
· 이문웅 (1998), 「과학기술의 본질에 대한 논쟁이 던져주는 교훈 ― 이데올로기로서의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경계한다」, ≪자연과학≫ 5호, 73-83.
· 이영희 (2000), 「과학기술과 시민참여」, 『과학기술의 사회학』, 한울, pp. 257-287.
· 이영희 (2001), 「"과학전쟁"과 사회적 구성주의: 비판적 검토」, 대토론회 "과학전쟁" 발표논문집, pp. 22-33.
· 임경순 (1995), 『20세기 과학의 쟁점』, 민음사.
· 홍성욱 (1999), 「누가 과학을 두려워하는가 ― '과학 전쟁'의 배경과 그 논쟁점」,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지성사, pp. 68-126.
· 홍성욱 (2000), 「과학기술의 민주화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성찰」, ≪경제와사회≫ 46호, 315-322.
· Kleinman, Daniel Lee (1995), "Why science and scientists are under fire ― and how the profession needs to respond,"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September 29), B1-B2.
· Kleinman, Daniel Lee (2000), "Democratiz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D. L. Kleinman (ed.), Science, technology, and democracy,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39-165.
· Krimsky, Sheldon (1992), "Regulating Recombinant DNA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D. Nelkin (ed.), Controversy, 3rd ed., London: Sage, pp. 219-248. [국역: 「DNA 재조합 연구와 그 응용에 대한 규제」, ≪시민과학≫ 12호 (pp. 26-34), 13호 (pp. 5-11), 14호 (pp. 28-38)]
· Levitt, Norman, & Gross, Paul (1994), "The perils of democratizing science,"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October 5), B1-B2.
· Schneider, Stephen H. (2000), "Is the 'Citizen-Scientist' an oxymoron?" D. L. Kleinman (ed.), Science, technology, and democracy,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03-120.
· Sclove, Richard E. (1999), 「민주주의가 진정으로 중시되는 기술정치」, 참여연대 과학기술민주화를 위한 모임 편, 『진보의 패러독스』, 당대, pp. 86-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