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견서(2003).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현상과 인식, 가을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국경없는마을(2006). 다문화가족 이야기. 국경없는마을 출판사.
· 권유경, “결혼이민자 가정에서의 호혜적 기대의 일치와 불일치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p2
· 권유경, “결혼이민자 가정에서의 호혜적 기대의 일치와 불일치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p33
· 김민정 외(2006). 국제 결혼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인류학, 39-1.
· 김민정, “한국 결혼이주자의 어려움”, <국제여성정책심포지엄>,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6, p77 재인용
· 김범수(2007). 미래사회의 다문화가족. 다문화가족센터 국제심포지업 자료.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 김연희,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사회복지연구> 35, 2007, pp118-120
· 김이선 외,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pp25-26
· 김이선 외,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한국여성정책 연구원, 2007, pp xii-xiv
· 김이선?김민정?한건수(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 김이선?김민정?한건수(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 김현덕(2007).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 교육, 국제이해교육연구, 제2권,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김희정(2007).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오경석 외 지음,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서울: 한울, 2007).
· 니시카와 나가오 지음. 한경구 외 옮김. 『국경을 넘는 방법: 문화, 문명, 국민국가』(서울: 일조각, 2006)
· 다문화가족센터 엮음(2006). 한국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정책과 향후 방향성.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개소기념 세미나자료.
·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 및 지원전략.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추계학술대회자료집(2006).
· 동승철, “새터민의 효율적 정착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p86
· 마르티니엘로 지음, 윤진 옮김,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서울: 한울, 2002)
· 마사끼 우찌다, 2007, 선문대학교
· 박천응(2006). 이주민 신학과 국경없는마을 실천. 국경없는마을 출판사.
· 복기대(2006). 한민족은 단일민족? 천만의 말씀. 주간동아(526). 동아일보사.
· 북한이탈주민후원회(2001).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 실태보고.
· 설동훈 외(2004). 국내 외국인노동자 차별해소방안 연구. 대통령자문기획원.
· 설동훈 외(2006).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설동훈, “한국의 노동시장과 외국인 노동자” , <경제와 사회> 제 15권, 1992
· 신승연 외(2007).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 오경석 외,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서울: 한울, 2007)
· 오수열, 김주삼, “새터민을 위한 정부와 지역사회의 역할”, <대한정치학회보> 13집 3호 , 2006
· 오제명, 전경화, “다문화주의와 제2외국어교육”,<인문학지> 25권 충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p392, pp405-406
· 외국인노동자 가족관련 정책 비교연구, 장혜경 외, 2006
· 윤선오, 박명오, 권장수, “이주노동자 현황 및 개선방안”,<복지행정논집> 15권 2호, pp221-259 재인용
· 윤인진(2007). 국가주도 다문화주의와 시민주도 다문화주의, 한국사회학회(2007년 한국사회학회 동북아시대위원회 용역과제), 07-7.
· 이광자 외(2006). 21세기 사회학. 학지사.
· 이금순 외(2003). 북한 탈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 이수현(2006). 우리옆의 약자. 산지니.
· 이용호(2006). 혼혈인에 대한 인식. 자유공론, 41(5). 한국자유총연맹.
· 이혜경, “외국인 노동자 고용에 대한 연구 :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28, 1994 재인용
· 장동진, 황민혁, “외국인노동자와 한국민족주의”, <21세기 정치학회보> 17집 3호, 2007, p232
· 정건화 외(2005). 근대 안산의 형성과 발전. 한울 아카데미.
· 정일선(2006). 길찾기: 경상북도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와 통합의 가능성. 다문화사회: 아시아 여성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삶 - 한국, 대만, 베트남, 일본에서의 경험.
· 조정아 외, “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한국여성개발원?통일연구원, 2006, pp210-211
· 최강민(2006). 단일민족의 신화와 혼혈인. 어문론집(제35). 중앙어문학회.
· 최협 외 엮음(2005).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아카데미.
· 카노시타 미애, “2000년 이후 아시아계 외국인 이주 노동자 가족 생활 현황과 문제점”, 서울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p63
·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2007). 『다문화가족백서』.
· 한건수,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한국문화인류학회, 2006, pp201 재인용 (Study on outlook of child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 한국 다문화가정의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최성민, 2008,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국기독교사회복지총람. 한국기족교사회복지협의회.(2007).
·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국경없는마을 학술토론회자료집. 국경없는마을 출판사.(2007).
·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 “차기 정부 여성?가족정책 10대 과제”, 제42차 여성정책포럼 자료집.
· 한영혜(2006). 일본의 다문화공생 담론과 아이덴티티 재구축, 사회와역사, 통권 제71집(2006. 9.).
· Glazer, N. 2002. "We are all Multiculturalists Now." in H. Breining, J. Gebhardt, and K. Losch(ed.).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Societies: Perspectives on Difference and Transdifference. Erlangen. pp.37-51.
· He, B. and W. Kymlicka. 2005. "Introduction." in W. Kymlicak and B. He(ed.). Multiculturalism in Asia.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1-21.
· Joppke, Christian. 2001. "Multicultural Citizenship: A Critique." European Journal of Sociology, 42(2), pp.431-447.
· Kwon, Tai-Whan(1977). Demograpy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Kymlicaka. W. 2005. "Liberal Multiculturalism: Western Models, Global Trends, and Asian Debates." in W. Kymlicak and B. He(ed.). Multiculturalism in Asia.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22-55.
· Kymlicka. W.(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Univ. Press.
· Lee, H-K.(1997).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in Korea. International Sociology, 12(3).
· OECD(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 Porter, M.(2001). On Comperition. 김경묵?김연성 옮김. 경쟁론. 세종연구원.
· Taylor, Charles. 1994.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n Multiculturalism in Asia.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25-84.
· Young, Iris Marion. 1989. "Polity and Group Dkfference: A Critique of the Ideal of Universal Citizenship." Etbics, 99, pp.250-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