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애플은 1976년 개인용 컴퓨터를 주 사업영역으로 설립됐으나 이제는 휴대용 음악 기기, 가정용 전자기기, 휴대폰 등으로 영역을 꾸준히 확장해가고 있다. 애플은 창립된 이래 매우 혁신적인 제품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1977년에 소개된 애플Ⅱ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제품이란 평가를 받으며 큰 인기를 모았으며, 1983년에는 최초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PC인 리사(LISA)를, 1984년에는 매킨토시(Macintosh)를 선보였다. 승승장구하던 애플은 1990년대 들어 Microsoft의 부각과 함께 시장 점유율이 크게 하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애플은 비디오, 음악, 사진 등의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제 2의 성장기를 누리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2007년 6월 iphone 이라는 키패드가 없는 전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폰을 출시하여 전 세계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애플의 신제품 출시 키노트 연설을 보면(애플은 신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맥 월드 쇼(MacworldShow)"라는 컨퍼런스를 열며 주목을 받는다)애플의 지속적인 혁신의 본질이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다.
<중 략>
또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가 커져감에 따라(RatchetEffect)애플 역시도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부담감과 위험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애플이 총체적으로 모든 생산라인을 관할하는 시스템이 소비자와 협력업체들에게 외면당하는 순간 비대한 몸집을 견뎌내지 못하고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애플이 몰고 오는 새로운 문화의 태동은 분명 긍정적인 방향성을 지니지만, 그 속에 적지 않은 부작용의 위험성도 갖고 있다. 또한 스티브 잡스와 애플의 일체성은 향후 애플이 스티브 잡스가 CEO로 재직해 있을 동안에만 빛을 발휘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질지, 계속 혁신을 지속하며 시대를 이끌 수 있을지는 지켜보아야 할 대목이다. 스티브 잡스가 이끄는 애플만이 가지는 유일무이한 본질은 그들이 가진 강력한 캐릭터 때문에 일순간에 스스로를 위기에 내몰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포함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혁신=위기"라는 자기모순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 권 민, 2010, "브랜딩", 유니타스브랜드
· 김 억 외, 2007, "CEO가 알아야 할 디자인경영 10포인트", 한국디자인진흥원
· 김정남, 2010," 애플&닌텐도", 길벗
· 김도훈 외, 2001,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 무엇을 할 것인가", 사회평론
· 박민영, 2009, "인문학 세상을 읽다", 인물과 사상사
· 인문과학연구소, 1995, "인문과학의 이념과 방법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김보영, 2010, "디자인경영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성공요인 차이분석", 상품학연구
· 28(4), 34
· 조선일보, 2010, Garry Hamel, "Weekly Biz-CoverStory(1시간 강연료 `10만 달
· 러 사나이 게리 해멀 교수 紙上특강)", 5월 15일
· 중앙일보, 2010, 이홍규,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11월 3일
· 한겨레신문사, 2010, Klaus Brink baumer?homas Schulz, "Economy Insightthe 2nd-CoverStory(악마적 천재, 스티브 잡스)"
· KBS, 2010, "KBS 스페셜 스티브 잡스의 애플, 혁신을 말하다",10월 10일
· Aaker, David, 2003,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북스
· Brigitte Borjade Mozota, 2008, "디자인 경영", 디자인넷, 김보영 역
· Cruikshank, JeffreyL.,2010, "애플웨이", 더난출판, 장준희 역
· Kahney, Leander, 2005, "컬트 브랜드의 탄생, 아이팟 "미래의 창, 이마스역
· Moritz, Michael, 2010, "스티브 잡스와 애플 Inc, "랜덤하우스, 김정수 역
· Nobuyuki, Hayashi, 2007, "스티브 잡스의 위대한 선택, 아이콘북스, 장선우 역
· __________________,2010, "스티브 잡스의 명언 50", 스펙트럼북스, 김정환 역
· Verganti, Roberto, 2009, "창조적 혁신 전략 디자이노베이션", 한스미디어, 김보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