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문] EMMA와 URSULA의 자아인식 비교(MS-WORD)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38페이지/
MS 워드
- 가격 4,000원

소개글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2
Ⅱ. EMMA의 자아인식………………………………………3
Ⅲ. URSULA의 자아인식………………………………….16
Ⅳ. EMMA와 URSULA의 자아인식 비교……………….27
Ⅴ. 결론………………………………………………………33
<참고문헌>…………………………………………………..38
본문내용
본 논문에서는 Jane Austen과 D.H.Lawrence의 소설 속의 대표적인 여성인 Emma와 Ursula의 자아 인식의 과정과 결과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19세기 영국의 여류 소설가 Jane Austen은 어느 여류 소설가보다도 여성 문제를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여성의 복종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적 풍토에도 불구하고, Austen이 그리려고 했던 여성 인물들은 남성 우위의 사회 속에서 자아를 찾기 위한 시도를 감행하려고 한다.
Jane Austen이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가장 잘 나타낸 작품이 바로 Emma이다.주인공 Emma Woodsous는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도 능동적인 Emma의 자립적인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Emma는 똑똑하고 영리한 반면에 자신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많은 결함을 갖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 결함은 오히려 그녀의 매력을 더해 주어서 “faultless in spite of all her fault" 라고 역설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렇게 역설적 매력을 지닌 여성상으로서의 Emma를 창조한 Austen에 비하여 20세기 초 영국의 소설가 D.H.Lawrence는 이제까지 소설 속에 등장했던 여성 인물들과는 다른 새로운 스타일의 근대적인 여성 인물들을 창조하게 되었다. 그는 1913년 1월 27일 Ernest Colling 에게 보낸 서한에서 자신의 배후에 어떤 여성 없이 일을 한다는 것은 가망이 없는 일이며, 그가 사랑하는 여성이 없이는 이 세상에 가만히 앉아 있지도 못하고 어쩔 줄을 모르게 된다고 고백하였다. 이렇게 숨은 협력자로서 여성의 힘을 필요로 했던 Lawrence로서는 여성적 관점의 형성이 필연적인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Lawrence의 대표적인 장편 소설 The Rainbow는 영국 문학사상 결혼에 대한 소설 중에선 가장 훌륭한 소설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한편, 새로운 타입의 여성인물을 창조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