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방] 바람직한 미디어상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원론적인 내용들로 채워진 논문수준의 리포트입니다.
열심히 만든 리포트입니다.
개요에서 볼수있듯이,매체별로 특성과 기능, 현실적 문제점, 미래상등을 순서대로 언급한뒤,
앞으로의 바람직한 미디어상을 결론지었습니다.
물론 A+ 받은 리포트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ⅰ)텔레비전
① 드라마
② 광고
③ TV뉴스
ⅱ)영화
ⅲ)인터넷
Ⅲ.결론
본문내용
우리 시대를 표현하는 말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어떤 학자는 이 시대를 우주로 향해 식민지를 개척해 나가야 할 우주시대(space age), 어떤 사람은 정보화 시대(Information age), 어떤 사람은 전자 공업이 컴퓨터․통신․자동화 등을 가져온다 해서 전자시대(electronic era) 또는 C&C(Computer and Communication)의 시대라 부르고 있다. 또 다니엘 벨은 이 시대를 하드웨어 중심인 기계적 산업 시대의 뒤에 오는 시대라 해서 후기 공업화 사회 또는 탈산업화사회(post-industrial society)라 하고, 앨빈 토플러는 초산업사회(super-industrial
society)라 부르고 있다.
이처럼 사람들마다 우리 시대를 나타내는 표현은 달라도 전파나 또는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기술이 극도로 발달됨으로 인해 세계가 하나의 공동체가 된다는 생각은 공통된 듯 하다. 이러한 표현들이 모두 '정보'의 원활한 유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정보화 사회'라는 말이 이 시대를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말이라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현대사회를 나타내는 표현들을 포괄하는 '정보화 사회'란 무엇인지 그 개념과 정보화시대에서의 미디어의 역할 및 사회와의 관계를 살펴본 후, 정보화시대의 바람직한 미디어의 상에 대해 중심적으로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참고 자료
■ LG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정보혁명 생활혁명 의식혁명」, 백산서당, 1999
■ 성동규, 라도삼,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한울아카데미, 2000
■ 이근무, 「정보통신혁명의 사회학적 함의」, 한국 사회학 제 30집, 1996,
■ http://lead2000.sicc.co.kr/contents/internet/internet9611.htm
■ http://my.netian.com/~tj9296/b.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