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시스템과학] 사암의 분류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사암의 분류 방법에 대한 Okada 의 논문을 해석 요약한 것입니다. 논문의 사진 자료들도 포함되어 있구요, 한글 해석본이나 내용을 보고 싶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Existing Schemes of Sandstone Classification
Criteria of Classification and It's Variability
Trends in Classificatory Schemes
Problems involved in Sandstone Classification :
Genetic Classification Vs. Descriptive Classification
Tectonsm and Sandstone Types
Identification & Definition of the three Basic Rock-Types
On the Concept of "Common Sandstone"
Compositional Variation of Sandstones due to their Mean Grain Size
Definition of "Clay Matrix"
Clay Matrix as a Classificatory Parameter
Clay matrix in a Classificatory System
End-Members in Ternary Diagrams
Subdivision of the Ternary Diagram
Proposal of a Classificatory Scheme :
Procedure
Concluding Remarks
본문내용
사암의 분류 : 분석과 분석 방법의 제안
Abstract
1948년 Krynine 의 현대적인 사암의 분류방법 확립 이후에 거의 50가지의 사암 분류 방법들이 제안되어왔다. 뒤에 놓여진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Klein, Shutov, Crook 등과 다른 학자들의 건설적인 비평에 의해서 시도되었다. 나는 이러한 제안된 연구안들을 통합하여 분석했다.
(1) 3개의 암석 분류 유형의 개념 (Orthoquartzite, Graywacke, Arkose) 은 애매하고 혼동되는 정의를 갖고 있고, 지질 변동과 부적절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버려져야 한다.
(2) 유체 요소 또는 조직적 성숙도의 개념은 조산대에서 굳어진 사암에는 엄밀하게 적용시킬 수 없다.
(3) 사암의 조성은 입자 크기에 달려있다.
(4) 석영, 장석, 암편의 비율은 입자 크기와 기질의 양에 따라 다양하다. 3가지 요소의 분류-입자크기, 기질의 양, 구성요소의 조성 사암의 분류에 필요하다. 그것은 Gilbert 의 분류의 수정을 의미하기 때문에 새로운 용어의 소개는 피하도록 하겠다.
Introduction
현대 사암 분류의 첫째 연구안은 Pettijohn 에 의해 제출되었다. Pettijohn 에 의해 처음으로 제출된 현대 사암 분류의 연구안은 퇴적물 분류 연구에 많은 진전을 주었다. 그때 이래로 많은 사암의 분류 방법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는 지질학자와 퇴적학자들 사이에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Klein, Dott, Shutov, Crook 은, 다른 사람들 중에서도, 문제를 명백히 하고 해결책을 제시 하기위해 시도를 했다.
사암에 대한 새로운 자료의 관점에서 보면, 사암 분류에 대해서는 더 나중에 조사하는 것이 적절한 시기라고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사암의 분류의 가장 좋은 분석으로 제안된 연구안의 결과를 요약하고,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제안해 보았다.
Existing Schemes of Sandstone Classification
Krynine 이래로 거의 50개의 사암 분류 연구안이 10개 이상의 나라에서 7개의 언어로 제안되어오고 있다. Klein 은 1940년대와 1960년대 사이에 출판된 미국의 분류를 재검토 하였고, Shutov 는 러시아의 분류를 재검토 하였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이것들을 재검토 하기 위한 시도는 하지 않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