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사회학의 개념 이해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계층
2. 계급
3. 사회적 희소가치
4. 기능론
5. 갈등론
6. 사회계층의 부분문화
7. 사회 계층과 사회 계급의 차이
8. 사회 계층 제도에 대한 기능론과 갈등론의 주장 차이와 평가
9. 상징적 상호작용론
10. 막스 베버(1864-1920)와 이해의 방법
11. 파슨스와 머튼의 기능주의 이론 비교
본문내용
1. 계층
직업, 재산, 가문, 인종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사회적 특권, 이익 등의 사회적 보상이나 가치가 불평등하게 분배되어 서열을 이루고 있는 비슷한 인구의 집단. 베버는 계층의 결정요인으로 경제적 계급 (재산), 사회적 지위 (위신), 정당 (권력)을 들었다.
2. 계급
사회계층의 여러 원인 중 주로 경제적 원인에 의하여 형성된 비슷한 사람들의 집단으로 마르크스가 주장한 것임. 최근의 사회학자들은 재산, 권력, 사회적 위신 등을 계급의 결정요소로 들고 있음
3. 사회적 희소가치
재산, 사회적 지위, 명예, 학벌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가지고 싶어 하지만 수량이 제한되어 있는 정신적 가치나 재화. 희소재화(scarce resource)라고도 한다.
4. 기능론
정치, 경제, 교육 등 사회를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이 각각 맡은바 역할과 기능을 잘 수행할 때 사회가 안정적인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론. 기능론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균형(equilibrium)이라고 하며, 이들은 사회는 하나의 유기체로서 균형을 회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듸르껭 (Emile Durkheim)과 미국의 사회학자 탈코트 파슨스 (Talcott Parsons) 등이 여기에 속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