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홍역
- 최초 등록일
- 2002.11.26
- 최종 저작일
- 2002.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00원

판매자la****
13회 판매
목차
감염 및 전파경로
증 상
진단 및 치료
관리 및 예방
합 병 증
접종시 주의 해야할 상황
접종시 이상 반응
본문내용
홍역은 Paramyxoviridae과에 속하는 홍역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한 소아의 급성전염병으로 구강 점막에 코플리크씨 반점(Koplik's spot)이 나타나면 진단이 가능하고, 홍반성구진(발진)이 특징이다. 홍역환자로부터 직접 또는 환자의 배설물로 오염된 물건을 통해 간접적으로 감염되며, 감염성이 강해서 접촉한 사람의 90%이상이 발병한다. 전구기, 발진기, 회복기의 3기를 거치며 증상은 보통 10-12일에 나타난다. 특이요법은 없고 MMR 백신으로 예방접종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홍역의 유행은 건조한 계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백신접종사업 이후에는 발생이 크게 줄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 제구실이라고 불리기도 하였으며, 주로 늦은 봄철(4-6월)에 많이 발생한다. 전세계적으로 2-3년마다 주기적으로 유행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993-1994년에 학동기 전 소아연령층에서 유행이 발생했다. 2000년 한해동안 약 3만명에 가까운 홍역환자가 발생하였고 대부분의 환자가 만 4-6세의 2차 홍역 추가접종을 받지않은 초.중등생들에게 발생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