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키워드(keyword)광고의 상표법적, 경쟁법적 문제-0611

법학
2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6.25 최종저작일 2012.05
28P 미리보기
키워드(keyword)광고의 상표법적, 경쟁법적 문제-0611
  •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법학

    목차

    I. 서 론

    II. 키워드 광고의 상표법적 문제

    III. 키워드 광고의 경쟁법적 문제

    IV. 결 론

    본문내용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 온라인 서비스의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광고는 현대사회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온라인 광고를 통해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자신과 자신의 상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글(http://www.google.com) 사이트를 방문하여 검색창에 키워드로서 샤넬(chanel)을 입력하면 왼쪽에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결과 리스트가 그리고 오른쪽에 스폰서 링크가 표시되는데, 스폰서 링크는 이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엔진은 이에 상응하는 사이트를 찾아서 오른쪽 창에 표시한다. 이처럼 스폰서 링크는 키워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누구나 자신의 사이트 광고를 위해 사이트 특성에 맞는 키워드를 갖고 싶어 한다. 또한 경매 등을 통해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결과 리스트에서 상위에 랭크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최소 지불 요구사항이 없기 때문에 광고비용을 이용자의 상황에 맞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일예산을 5,000원으로 설정하고 광고가 클릭될 때마다 최대 100원씩 지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가 코카콜라인 경우 클릭 당 지불할 최대 금액(Max CPC)은 3달러, 피자헛(Pizza Hut)은 0.31달러 그리고 맥주(beer)의 경우는 0.20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상표가 상품 혹은 서비스의 정보를 집약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소통의 비용을 절감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구글 사이트에서 광고를 작성하고 비즈니스와 관련 있는 단어나 구로 키워드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키워드 중 하나가 검색되면 해당 검색결과 옆에 광고가 표시된다. 이를 통해 관심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광고를 할 수 있고, 사용자는 광고를 클릭하기만 하면 원하는 제품을 구입하거나 광고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자료

    · 구대환, “상표권과 부정경쟁방지 - 주지·저명상표와 등록상표의 충돌 -”, 창작과 권리(제36호), 세창출판사, 2004
    · 김병일, “키워드광고와 상표권 침해”, 디지털재산법연구(제6권 제1호), 한국디지털재산법학회, 2007
    · 김원오, “저명상표의 희석화 침해이론의 실체와 적용요건”, 지적소유권법연구(제4집), 지적재산권법연구(구 지적소유권법연구), 2000
    · 김원오, “상표법상 상표의 사용을 둘러싼 제문제”, 제1회 상표포럼: 인터넷환경에서의 상표분쟁의 문제(2010.4), 특허청
    · 박영규, “상표권 침해에 대한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책임 - 오픈마켓 운영자를 중심으로 -”, 비교사법(제18권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11
    · 박준석, “인터넷에서 ‘상표의 사용’ 개념 및 그 지위 - 검색광고 등 인터넷 광고에 대한 해외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조(통권651호), 법무부, 2010
    · 유대종, “검색광고의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인터넷법률(통권 제34호), 법무부, 2006
    · 이대희, 「인터넷과 지적재산권법」, 박영사, 2002
    · 정상조, “주지상표의 보호 -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의 조화를 위한 제언 -”, 법학(제43권 제4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2
    · 정태호, “상표적 사용과 상표권의 효력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세계화시대의 기업법(휭천이기수선생정년기념논문집)」, 2010
    · 조영선, “상표의 사용개념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저스티스(통권 제105호), 한국법학원, 2008
    · 차태호, “온라인 커뮤니티 트랜드와 키워드 광고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마켓팅을 중심으로 -”, 시각디자인연구(제30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09
    · Engels, Markenrechtliche Reichweite und wettbewerbsrechtliche Grenzen von Keyword Advertising, MarkenR 2010
    · Fezer, Markenschutzfähigkeit der Kommunikationszeichen (§§ 3 und 8 MarkenG) und Kommunikationsschutz der Marken (§§ 14 und 23 MarkenG), WRP 2010
    · Hacker, Funktionenlehre und Benutzungsbegriff nach "L`Oréal" - Anmerkungen zu EuGH, Urt. v. 18.6.2009 - C-487/07 - L`Oréal, MarkenR 2009
    · Hüsch, Keyword Advertising, MMR 2006
    · Illmer, Keyword Advertising - Quo vadis?, WRP 2007
    · Jaeschke, Zur markenmäßigen Benutzung beim Keyword-Advertising, CR 2008
    · Knaak, Keyword Advertising - Das aktuelle Key-Thema des Europäischen Markenrechts -, GRUR Int, 2009
    · Kur, Confusion Over Use? Die Benutzung „als Marke” im Lichte der EuGH-Rechtsprechung, GRUR Int. 2008
    · Ohly, Keyword Advertising auf dem Weg zurück von Luxemburg nach Paris, Wien, Karlsruhe und Den Haag, GRUR 2010
    · Ott, Anmerkung zu LG Braunschweig, MMR 2007
    · Piper, Der Schutz der bekannten Marken, GRUR 1996
    · Renner, Metatags und Keyword Advertising mit fremden Kennzeichen im Marken- und Wettbewerbsrecht, WRP 2007
    · Ruess, „Just google it?“ - Neuigkeiten und Gedanken zur Haftung der Suchmaschinenanbieter für Markenverletzungen in Deutschland und den USA, GRUR 2007
    · Sack, Sonderschutz bekannter Marken, GRUR 1995
    · Sack, Vom Erfordernis der markenmäßigen Benutzung zu den Markenfunktionen bei der Haftung für Markenverletzungen, WRP 2010
    · Schultz/Störting, Die wettbewerbsrechtliche Beurteilung von Keyword-Advertising mit fremden Marken, WRP 2008
    · Sosnitza, Adwords = Metatags?, MarkenR 2009
    · First Council Directive 89/104/EEC of 21 December 1988 to approximate the laws of the Member States relating to trade marks
    · COUNCIL REGULATION (EC) No 40/941 of 20 December 1993 on the Community trade mark
    · DIRECTIVE 2000/31/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8 June 2000 on certain legal aspects of information society services, in particular electronic commerce, in the Internal Market
    · Directive 2005/29/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May 2005 concerning unfair business-to-consumer commercial practices in the internal market and amending Council Directive 84/450/EEC, Directives 97/7/EC, 98/27/EC and 2002/6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Regulation (EC) No 2006/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