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중국어 한글 표기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중국어 한글 표기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6.22 최종저작일 2012.05
29P 미리보기
중국어 한글 표기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미리보기

    소개

    중국어 한글 표기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목차

    1. 머리말

    2. 최영애-김용옥 표기법
    2.1. 開口
    2.2. 齊齒
    2.3. 合口 및 撮口
    2.4. 子音
    2.5. 母音

    3. 교육부 표기법
    3.1. 開口
    3.2. 齊齒
    3.3. 合口 및 撮口
    3.4. 子音
    3.5. 母音

    4. 개선 방안
    4.1. 子音
    4.2. 母音

    5. 맺는 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요즘 사교육 현장에서 어린이들의 한자 학습의 열기는 대단하다. 그러나 성인들의 일상 문자 생활에서 한자는 점점 멀어져가고 있다. 아주 흔한 예로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출판물은 물론 학술 서적까지 한자의 사용을 기피하거나 매우 절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포츠 신문은 말할 필요도 없고 전국 일간지의 경우에도 한자 사용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방송에서도 사정은 비슷하다. ‘천상유애’ ‘추락천사’ ‘귀천도애’ 등 요즘 유행처럼 번져가는 한자식 대중 가요도 제목은 한글로 쓴다. 영화 제목도 마찬 가지이다. ‘야반가성’ ‘첨밀밀’처럼 무슨 뜻인지 얼른 파악이 되지않는 중국식 제목을 한글로만 적어 놓는다. 중국의 저명한 영화 감독가운데 ‘첸카이거’란 사람이 있다. 첸카이거가 어떻게 중국 이름이 될 수 있는지 중국어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궁금할 것이다. 중국성 陳을 한어병음으로 표기한 Chen을 영어식으로 발음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그나마 원음에 가깝게 소개된 경우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국계 스타는 한자음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윤발, 공리, 장국영, 이연걸, 유덕화, 왕조현, 곽부성’은 이름만 보아서는 한국 배우인지 중국 배우인지 알 수가 없다. 한자 조기 교육의 열기와 상반되는 이와 같은 사회적 현상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 궁금하다. 특히 지금 자라나는 세대가 성인이 되었을 때, 그들의 한자 학습 열기가 한자의 활발한 사용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될지, 아니면 학습을 위한 학습으로 그치고 말지 지켜 볼 일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다루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한자 사용을 권장하고자 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것은 현행 중국어 한글 표기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글 문장에서 중국어의 표기는 대개 세 가지로 할 수 있다. 첫째는 모든 중국의 지명과 인명을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하는 것이고, 둘째는 중국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며, 셋째는 한자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중 략>

    5. 맺는 말

    지금까지 중국어의 한글 표기 방안 중에 가장 대표적인 최영애-김용옥 표기법과 교육부 표기법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최-김안은 일 음소 일 기호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현대 북경 중국어의 모든 음절을 현행 한글 자모를 이용하여 모두 다르게 표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최-김안은 다음절 표기가 많아 번거로울 뿐 만 아니라 실제음과도 거리가 있다. 한편 교육부 표기법은 단음절 위주의 표기법으로 비교적 간단한 것이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음절을 고수하다 보니 실제음과도 거리가 생기고, 보통 한글 문장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철자들을 많이 사용하는 폐단이 있다. 특히 일 기호 다음소 원칙을 채택하여 하나의 한글 자모가 두 가지 중국 음소를 대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도 단점이 있다.

    참고자료

    · 姜信沆. 1980. 《四聲通解硏究》(再版) 서울: 新雅社.
    · 孔在錫. 1996. 12. 20. 개인 면담.
    · 孔在錫, 李在敦. 1987. 《中國語學槪論》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 김세중. 1996. 개인 통신.
    · 김경일. 1996. 《중국인은 화가 날수록 웃는다》 서울: 청맥.
    · 김용옥. 1983 [1989].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개정판] 서울: 민음사 [통나무].
    · 卞志源. 1996. 《韓國人의 現代中國語 韻母發音 樣相分析》 서울대학교 중문과 석사 논문.
    · 李珖鎬, 張素媛. 1994. 《國語正書法》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 李基白. 1990. 《國語國字論》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 鄭錦全. 1996. 《현대북경어 생성음운론》 (엄익상역) 서울: 학고방.
    · 정석원. 1994. 《불가사의한 中國人》 제2판. 서울: 도서출판 대흥.
    · 정재서. 1996. 《동양적인 것의 슬픔》 서울: 살림출판사.
    · 허벽. 1996. 12. 20. 개인 면담.
    · 허웅. 1990. 《국어 음운학》(중판) 서울: 샘문화사.
    · 《京鄕新聞》
    · 《문화일보》 1997. 2. 20.
    · 《朝鮮日報》 1997. 1. 20. 1. 23. 1. 25.
    · 《韓國經濟新聞》 1997. 1. 22.
    · 胡裕樹. 1992. 《現代漢語》香港: 三聯書店.
    · 黃伯榮, 廖序東. 1991. 《現代漢語》(增訂版) 上下冊 北京: 高等敎育出版社.
    · 林燾, 王理嘉. 1992. 《語音學敎程》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林祥楣. 1991. 《現代漢語》北京: 語文出版社.
    · 吳宗濟. 1992. 《現代漢語語音槪要》 北京: 華語敎學出版社.
    · 薛鳳生. 1986. 《北京音系解析》 北京: 北京語言學院出版社.
    · Lisker, L. and A.S. Abramson. 1964. "A Cross-language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s: Acoustical Measurements." Word, 20:384-422.
    · Pullum, Geoffrey K. and William A. Ladusaw. 1986. Phonetic Symbol Guid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ilva, David James. 1992.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Stop Lenition in Korean. Ithaca: DMLL, Cornell University.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