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의 현황 및 활성화방안에 대해(의료관광 시장 규모, 부산의료관광, 우리나라 의료관광 사례 문제점, 청심 꽃마을 초락당)
*성*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의료관광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2011년에는 1억160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앞으로 의료관광 시장은 더욱더 성장하여 지금보다 더 많은 수입을 가져다 줄 산업입니다. 2010년 기준 수도권 의료관광 비중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지만 각 지역에서 의료관광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산은 의료관광 허브 도시로 지정되어 앞으로 그 성과가 더 기대가 되고있습니다. 이에 부산 의료관광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았으며, 이외에 우리나라 의료관광 사례를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외국의 싱가포르, 태국, 인도의 성공사례를 알아보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관광 문제점 및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썼습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내세요.목차
Ⅰ. 의료관광1. 의료관광의 개념
2. 의료관광의 발달배경
3. 의료관광의 유형
4. 의료관광의 파급효과
5. 우리나라의 의료관광 제도
Ⅱ. 의료관광 시장의 현황
1.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산업 규모
2. 의료관광객 유치실적
3. 지역별 진료 유형별 환자 수
4. 외국인들의 의료비자 발급 증가
5. 해외시장
Ⅲ. 부산 의료관광 사례
1. 의료관광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정
2. 부산 의료관광 현황
3. 의료관광 홈페이지 및 정보 허브 기관 마련
4. 의료관광 인프라 구축
5. 의료관광 체험 팸투어 및 다양한 마케팅 실시
6. 문제점
7. 해결방안
Ⅳ. 기타 국내 의료관광 사례
1. 안동병원 헬스투어
2. 청심국제병원
3. 꽃마을 경주 한방병원
4. 경주의 초락당
5. 경주 동국대병원 힐링센터
6. 제주 의료 관광 단지
Ⅴ. 국외 의료관광 성공사례
1. 싱가포르
2. 태국
3. 인도
Ⅵ. 우리나라 의료관광의 문제점
Ⅶ. 우리나라 의료관광의 활성화 방안
* 참고자료
본문내용
3. 지역별 진료 유형별 환자 수서울 소재 의료기관을 찾은 외국인환자는 2010년 50,490명(61.7%)이며, 경기 10,913명(13.3%), 대구 4,493명(5.5%), 부산 4,106명(5.0%), 인천 2,898명(3.5%)순이다. 2010년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차지하는 비중78.5%는 2009년 87.8%보다 9.3%로 감소했다.
2009년 서울 36,896명(61.3%), 경기 11,563명(19.2%), 인천 4,400(7.3%), 대구 2,816명(4.7%), 부산 2,419명(4.0%) 순이었다.
4. 외국인들의 의료비자 발급 증가
한국에서 치료 받기 위해 의료비자를 신청하는 외국인은 러시아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가 공개한 2011년 의료비자 국가별 발급 현황에 따르면 러시아인에게 발급된 의료비자는 2011년 1년간 총 399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중국(1757건), 몽골(1653), 카자흐스탄(349), 베트남(193건), 캄보디아(98건), 우즈베키스탄(57건), 인도네시아(42건), 방글라데시(23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09년부터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방한하는 외국인에게 메디컬 비자를 발급해오고 있으며, 기존의 단기종합 C3(90일), 일반G1(1년) 비자에 치료목적을 의미하는 메디컬(M)을 표기, C3(M), G1(M) 비자를 발급하고 있다. 외국인이 메디컬 비자를 받으려면 해당 국가의 진료기록과 재산증명, 국내 병원의 예약 확인증 등이 필요하다.
법무부는 외국인 환자 본인이 재외공관에 직접 사증발급을 신청한 경우 공관의 사정에 따라 발급기간이 다르지만 제출서류를 구비한 경우 통상 러시아 3일, 중국(선양) 5일, 몽골 14일 정도가 소요된다며 의료코디네이터 및 외국인환자 알선 우량업체 대표 등에 대해 최장 3년간 유효한 복수사증을 발급하는 등 의료비자 관련 규제를 완화해 나가겠다고 하였다.
참고 자료
관광자원의 이해, 대왕사, 2011.03의료관광론, 한올출판사, 2011.02
의료관광의 이해, 기문사, 2010.05
한국의료관광 총람, 한국관광공사, 2012
경제정책조정회의 보고자료, 2011.6.8
2010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 분석자료, 보건복지부, 2011.5.27
2010 외국인 환자 통계, 보건복지부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한국관광공사, 2010
국제의료관광 소비자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2권 4호, 2010.12.27
우리나라의 의료관광 추진현황과 성장 전략, 한국무역 협회 2010.05
보건의료부문 지식정보화를 위한 법률적, 제도적 과제, 보건복지포럼, 2009
의료관광마케팅 조사보고서, 한국관광공사, 2008
태국 상무부수출진흥국 자료, 2008
의료관광신문
한국의료관광협회
부산의료관광 홈페이지
안동병원 헬스투어 홈페이지
청심 국제병원 홈페이지
꽃마을 경주한방병원 홈페이지
초락당 홈페이지
경주 동국대 병원 홈페이지
영리병원 한 곳 없고…의료비자 얻는데 2~3개월 "속 터져", 한국경제, 2012.02.06
의료관광과 진정성 정진생, 새전북신문, 2012.03.25
최고급 시설. 의료서비스로 급성장, 제주일보, 2009.10.22
가격.품질 경쟁력 `의료관광 허브` 성장, 제주일보, 2009.10.13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A+자료★(국내)의료관광의 개념과 현황, 의료관광의 사례 및 자원분석, 국내 의료 관광 swo.. 25페이지
- 부산의료관광현황과 문제점및 활성화방안 24페이지
- [관광]의료관광 6페이지
- 일본인의료관광객유치성공방안0 12페이지
- 삼림욕(산림욕) 4페이지